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3과 제주어

‘육지’와 멀리 떨어진 게 고유성을 지키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4·3사건으로 섬사람들은 고립되고 실어증에 걸린다. 제주어는 반란의 언어, 금지된 말. 참상에 대한 증언은 고사하고 제주 사람 티가 나는 말을 쓰는 것조차 꺼렸다. 육지에 나갈 때, 섬말은 바다에 내던져졌다.

2010년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사라져 가는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등록했다. 4단계는 소멸 직전의 언어로, 노인들만 뜨문뜨문 쓴다는 뜻이다. 말의 표준화와 미디어의 전국화는 지역어의 위기와 소멸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제주에는 제주어를 기록, 보존, 활성화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의 자긍심은 제주어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제주어 표기법’을 갖고 있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육지에서는 진작에 버린 ‘아래아’(ㆍ)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아’는 만들어지고 얼마 안 지나 소릿값이 바뀌기 시작한 글자다. 단어의 첫소리에서는 주로 ‘ㅏ’로 바뀌고(ᄂᆞᆷ→남), 첫소리 아닌 자리에서는 ‘ㅡ, ㅓ, ㅜ’로 변했다(하ᄂᆞᆯ→하늘, 다ᄉᆞᆺ→다섯, ᄂᆞᄅᆞ→나루). 단어마다 달라지는 발음을 어떻게 표시할지가 숙제이지만, 제주어를 기록하는 사람들은 제주어에 ‘아래아’ 발음이 살아 있으며, 이것이 제주어의 독특함 가운데 하나라고 본다.

제주어가 복권되길 바란다. 딴 지역보다 조건이 좋다. 자율성을 갖춘 자치도이기도 하고, 제주어 복권을 위해 애써온 사람들이 도도하게 버티고 있다. 집과 학교에서, 말로도 글로도 끈질기게 써서 제주어가 하나의 ‘언어’로 활짝 피어나길 빈다. 제주어 만세!


허버허버

“반대말이 없는 단어를 찾고 있어.” 아는 시인이 말했다. 기발하고 ‘기특한’ 상상이다. 나는 그를 ‘기특하다’고 했는데, 아마 당신은 그가 나보다 어린가 보다고 짐작할 것이다(실은 한참 위). 반대로 한 학생이 나를 ‘똑똑하다’라고 평하는 걸 보고, 맞는 말인데도(!) 기분은 상했었다. 밴댕이 소갈머리 선생은 ‘맹랑한 녀석’이라며 찡얼댔다. 어디에도 안 나오지만 안다. ‘표독스럽다’, ‘교태를 부리다’, ‘꼬리를 치다’가 누구를 향하는지 다 안다.

허버허버. “‘남자’가 음식을 급하게 먹을 때 내는 소리나 그 모양”을 뜻하는 새말. ‘남자’만을 지목하기 때문에 남성혐오라는 항의가 잇달았다. 무심코 이 말을 쓴 유명 ‘남성’ 유튜버는 ‘저는 절대 절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며 고해성사를 하고, 카카오톡에서는 이 말이 들어간 이모티콘을 판매 중지하면서 남성혐오 의도가 없다는 해명을 했다.

이 말의 기원이 ‘남자’만을 지목할지는 몰라도, 계속 그러기는 힘들 것이다. 다른 흉내말을 봐도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다. ‘깔짝깔짝, 깨지락깨지락, 꼭꼭, 오물오물, 우걱우걱, 질겅질겅, 쩝쩝, 후루룩’(‘냠냠’ 정도가 ‘아이’를 가리킨다).

사람이 미우면 뭘 먹을 때가 제일 얄밉다. 게다가 ‘허버허버’ 먹는다면 더 얄밉다. ‘기분 나쁘니 쓰지 말라’는 건 손쉬운 반응이긴 한데 문화적이진 않다. 반대말을 만들거나 새 의미를 덧붙여서 그 표현이 갖는 효력을 회수하는 방식이 좀 더 ‘기특한’ 방식이 아닐지.

그래도 말에 상처받았다고 말하는 남성이 늘어난다는 건, 멀리 보았을 때는 좋은 징후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77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25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Dec
    by 바람의종
    2008/12/11 by 바람의종
    Views 10250 

    ~ ㄴ걸 / ~ ㄹ 걸

  5. [re] 시치미를 떼다

  6.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8/02/20 by 바람의종
    Views 8429 

    X세대

  7. No Image 26Dec
    by 바람의종
    2011/12/26 by 바람의종
    Views 13448 

    X-mas

  8. No Image 13May
    by 윤안젤로
    2013/05/13 by 윤안젤로
    Views 28008 

    CCTV

  9. No Image 06Jun
    by 風文
    2020/06/06 by 風文
    Views 1507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10. No Image 15Sep
    by 風文
    2022/09/15 by 風文
    Views 1441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11. No Image 21Jul
    by 風文
    2022/07/21 by 風文
    Views 1207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12. No Image 16May
    by 風文
    2020/05/16 by 風文
    Views 1123 

    24시 / 지지지난

  13. No Image 20Sep
    by 風文
    2022/09/20 by 風文
    Views 1041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14. No Image 17Jul
    by 風文
    2022/07/17 by 風文
    Views 1316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15.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2814 

    12바늘을 꿰맸다

  16. No Image 18Apr
    by 風文
    2023/04/18 by 風文
    Views 1324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17. No Image 07Aug
    by 바람의종
    2009/08/07 by 바람의종
    Views 9501 

    -화하다, -화되다

  18.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12/05/30 by 바람의종
    Views 11348 

    -지기

  19.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0/01/23 by 바람의종
    Views 9275 

    -씩

  20. No Image 21Jun
    by 風文
    2020/06/21 by 風文
    Views 1686 

    -시- ① / -시- ②

  21.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0/08/14 by 바람의종
    Views 9006 

    -스럽다

  22. No Image 14May
    by 風文
    2020/05/14 by 風文
    Views 1565 

    -분, 카울

  23.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0398 

    -가량(假量)

  24. No Image 30Nov
    by 風磬
    2006/11/30 by 風磬
    Views 6210 

    (밤)참

  25. No Image 16Nov
    by 風磬
    2006/11/16 by 風磬
    Views 7001 

    (뒷)바라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