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의 바깥

1일 3교대 노동자는 ‘갑반, 을반, 병반’ 중 하나에 속해 일한다. 갑을은 일하는 순서다. 60갑자에서도 갑을은 시간의 순서이다. 하지만 순서는 쉽게 우열로 바뀐다. 야구에서나 점수 내기 쉬운 3루가 1루보다 낫지만, 그 외에는 1등, 1등석, 1등급이 더 좋다. ‘갑’은 먼저 들어가고 좋은 자리에 앉고 목소리가 높으며 호탕하게 웃는다. ‘갑을관계’나 ‘갑질’이란 말은 서열과 위계를 뜻하는 사회학 용어가 되었다.

이럴 때 말을 바꾸려는 시도를 한다. 예전에 아파트 주민들과 경비원들이 자신들은 대등한 관계라면서 근로계약서를 ‘동행 계약서’로 바꿨다. ‘동행 조례’나 ‘갑을 명칭 지양 조례’를 제정한 지역도 있다. 헌법 개정안에는 ‘근로’를 ‘노동’으로 수정하여 노동의 주체성을 강조했다. ‘근로자, 근로기준법, 근로계약서, 공공근로’를 ‘노동자, 노동기준법, 노동계약서, 공공노동’으로 바꿔 부르면 그런 느낌이 든다.

말을 바꿀 때 말의 바깥을 생각하게 된다. 이름과 실상이 서로 맞아야 한다. 근로가 노동이 되고 갑을이 동행이 되어도 현실이 여전히 노동을 배반한다면 실망스럽다. 정치를 한다면 ‘이름을 바로잡겠다’(正名)고 한 공자의 발언은 그저 말을 잘 다듬겠다는 뜻이 아니다. 이름에 걸맞게 현실을 바로잡겠다는 실천의지의 표명이다. ‘정규직 안 돼도 좋으니 더 죽지만 않게 해 달라’는 노동자들 앞에서 ‘갑을’을 ‘동행’으로 바꾸자는 ‘말’은 얼마나 한가한가.

말에 민감할수록 말의 바깥을 봐야 한다. 짓궂게 묻는다면, ‘굴종적인 동행관계’보다 ‘대등한 갑을관계’가 낫다.



말의 아나키즘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에 가면 ‘밝은누리’라는 대안학교 겸 공동체가 있다. 학교와 집을 손수 짓고 적정기술과 농사를 익히며 삶과 배움의 일치를 추구한다. 그들의 ‘말글살이’는 자못 의연하여 생활 용어를 힘껏 바꿔 쓴다. ‘하늘땅살이(농사)’, ‘몸살림(수신)’, ‘고운울림(예술)’이라든가, ‘어울쉼터, 아름드리(생활관)’ 같은 말을 만들었다. 일주일을 ‘달날, 불날, 물날, 나무날, 쇠날, 흙날, 해날’로 부른다. 코로나19는 ‘코로나 돌림병’이다.

삶의 방식이 다르면 말본새도 달라진다. 이들에게 말은 도구가 아니다. 새로운 말의 발명은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이끈다. 삶의 자리에 말을 초대하고, 초대받은 말은 다시 삶을 정돈한다. 고유어로 바꾸려는 강박이 보이지만 타인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방문객은 ‘쇠날’로 듣고 ‘금요일’이라 ‘번역’한다. 낯설지만 과잉되지 않다. 그들은 삶의 변혁을 추구하지 언어운동을 하지는 않는다.

이들을 보며 말의 아나키즘을 상상한다. 아나키즘을 ‘모든 지배의 거부’, ‘제도가 아닌 자발성에 의한 연대’라고 당돌하게 요약해 놓고 보면, 우리 사회는 말의 아나키즘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걸 느낀다. 한국 사회는 말의 무질서나 오염을 걱정하고, 올바른 말을 병적으로 강요해 왔다. 질서는 인위이고 위계이자 명령이다. 엘리트주의고 전체주의적이다. 그래서 표준어를 참조하지 않는 자유의 영토, 작은 공동체의 자율적 합의로 만드는 언어가 여기저기 꽃피어야 한다.

이게 어찌 그곳 사람들만의 문제겠는가. 말을 법 아래가 아닌 삶의 곁에 서게 할 때 우리는 자유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27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81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Jul
    by 風文
    2022/07/11 by 風文
    Views 1294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5. No Image 09Nov
    by 風文
    2023/11/09 by 風文
    Views 1295 

    왕의 화병

  6. No Image 10Jun
    by 風文
    2022/06/10 by 風文
    Views 1296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7. No Image 21Jul
    by 風文
    2022/07/21 by 風文
    Views 1297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8.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298 

    법과 도덕

  9.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298 

    아니오 / 아니요

  10.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300 

    금새 / 금세

  11. No Image 30May
    by 風文
    2020/05/30 by 風文
    Views 1301 

    매뉴얼 / 동통

  12. No Image 09Jun
    by 風文
    2022/06/09 by 風文
    Views 1301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13. No Image 13Apr
    by 風文
    2023/04/13 by 風文
    Views 1304 

    '김'의 예언

  14.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305 

    외래어의 된소리

  15.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305 

    과잉 수정

  16.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306 

    정당의 이름

  17. No Image 13Jun
    by 風文
    2022/06/13 by 風文
    Views 1307 

    개념의 차이, 문화어

  18. No Image 08Sep
    by 風文
    2022/09/08 by 風文
    Views 1307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19.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307 

    '-시키다’

  20. No Image 22Jul
    by 風文
    2022/07/22 by 風文
    Views 130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21. No Image 27May
    by 風文
    2020/05/27 by 風文
    Views 1313 

    교정, 교열 / 전공의

  22.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313 

    난민과 탈북자

  23. No Image 11Sep
    by 風文
    2022/09/11 by 風文
    Views 1313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24.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313 

    저리다 / 절이다

  25.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313 

    한 두름, 한 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