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18 12:18

콩글리시

조회 수 18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콩글리시

우리 한국인들이 자신들이 쓰는 영어를 장난스럽게 일컫거나 답답해하며 부르는 말이 ‘콩글리시’이다. ‘한국식 영어’의 별명인 셈이다. 다른 나라들을 둘러보아도 이러한 별명이 생기지 않은 경우가 없을 정도로 웬만한 곳에서는 모두 그들 영어의 특징을 꼬집는 별칭을 갖추고 있다.

싱가포르의 싱글리시, 말레이시아의 맹글리시, 파키스탄에는 파클리시가 있다. 영어 보급률이 높은 북유럽에서도 덴마크의 영어는 댕글리시, 스웨덴의 영어는 스웽글리시라는 딱지를 붙이고 있다. 옛날에 동아시아에 한자가 퍼지면서 일본식 한자, 한국식 한자(이두), 베트남식 한자(쯔놈) 등이 생겨났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싱가포르의 싱글리시를 비롯해서 아시아 사람들의 영어는 악센트와 억양에 특징이 있다. 아시아 영어는 대개 단어마다 강세를 강하게 드러낸다. 그래서 물 흐르듯이 들리지 않고 시끄럽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전체 고저의 변화가 별로 없어서 단어마다 발에 걸리듯이 매끄럽지 못하다. 그러나 이것이 또한 현실의 영어이기도 하다.

유창한 영어에 목말라했던 아시아인들은 줄곧 영미식 영어만을 유일한 학습 목표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젠 오히려 영어 사용자의 다수가 아시아인들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반대로 영어가 아시아인의 편의에 부응할 필요도 있다. 이젠 아시아인들에게 편한 일종의 ‘(동)아시아 영어’, 즉 어느 정도 아시아화시킨 ‘영어 통용어’가 필요할 때가 된 것 같다는 말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부담을 덜고 오히려 영어를 더욱 국제적인 도구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오로지 원어민다운 영어만을 향해 질주하는 현재의 영어 교육은 고급 전문가 교육에서나 의미가 있을 뿐, 보편 교육으로는 문제가 있다. 지금 동아시아인들은 영어 교육에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치르면서도 그 대가를 못 받고 있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98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28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5Jul
    by 風文
    2022/07/05 by 風文
    Views 1746 

    우방과 동맹, 손주

  5. No Image 16Jun
    by 風文
    2020/06/16 by 風文
    Views 175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6. No Image 01Feb
    by 風文
    2022/02/01 by 風文
    Views 175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7.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753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8.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754 

    통속어 활용법

  9. No Image 10Jul
    by 風文
    2022/07/10 by 風文
    Views 1754 

    지식생산, 동의함

  10.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11. No Image 26May
    by 風文
    2022/05/26 by 風文
    Views 1757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12.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757 

    드라이브 스루

  13.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759 

    한 두름, 한 손

  14. No Image 27Jun
    by 風文
    2023/06/27 by 風文
    Views 1761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15.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76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6. No Image 06Jun
    by 風文
    2020/06/06 by 風文
    Views 1766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17. No Image 18Oct
    by 風文
    2023/10/18 by 風文
    Views 176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18. No Image 26May
    by 風文
    2023/05/26 by 風文
    Views 1771 

    ‘이’와 ‘히’

  19. No Image 06Feb
    by 風文
    2023/02/06 by 風文
    Views 1772 

    국가의 목소리

  20. No Image 09May
    by 風文
    2020/05/09 by 風文
    Views 1774 

    백열 / 풋닭곰

  21. No Image 29Jan
    by 風文
    2022/01/29 by 風文
    Views 1774 

    정치의 유목화

  22. No Image 28May
    by 風文
    2023/05/28 by 風文
    Views 1780 

    아이 위시 아파트

  23. No Image 18Apr
    by 風文
    2023/04/18 by 風文
    Views 1782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24.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786 

    오염된 소통

  25. No Image 11Sep
    by 風文
    2022/09/11 by 風文
    Views 1786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