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31 18:03

어떤 문답

조회 수 16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떤 문답

자유롭게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는 일은 주어진 상황의 문제를 깨달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절차다. ‘질문’은 지식과 정보의 빈틈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답’은 바로 이 틈을 메워준다. 그래서 이 둘은 짝을 이루며, 합쳐서 ‘문답’이라고 한다. 또 남에게 가르치기 위해 일부러 질문을 만들 수도 있다. 대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제자백가가 그리 난해한 이론을 가르친 것은 아니다. 그저 제자들의 오만 가지 질문에 성실히 대답했을 뿐이다. 그리스 철학자들도 아카데미아에서 제자들이 던지는 질문에 답을 해주었을 뿐이다. 석가모니도 예수도 무슨 복잡한 교리를 전달하려고 애쓴 것이 아니다. 그저 제자들의 질문에 짝이 맞는 대답을 해주었을 뿐이다. 그 과정에서 제자들은 깨달음을 얻었고, 삶의 방향을 바꾸기도 했다. 질문과 대답의 위력이다. 인류의 지식은 이렇게 켜켜이 쌓아 올린 문답의 산물이다.

다음은 어느 기자와 검찰에 소환된 전직 대통령의 문답이다.

기자: 검찰 수사가 불공정했다고 생각하십니까?
대답: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습니다.
기자: 아직도 이 자리에 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대답: …….

모든 메시지가 언어화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깊은 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이 문답에서는 정치를 오래 한 사람에게서 풍기는 묵직한 정치관, 법철학, 권력에 대한 통찰 등 무언가를 해석해낼 여지가 전혀 없다. 한국 정치의 답답함은 이렇게 기본적인 짝이 만들어지지 않는 문답법에서 비롯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자유롭게 묻고 성실하게 답하는 풍토, 그것이 모든 깨달음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500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29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5Jul
    by 風文
    2022/07/05 by 風文
    Views 1746 

    우방과 동맹, 손주

  5. No Image 16Jun
    by 風文
    2020/06/16 by 風文
    Views 175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6. No Image 01Feb
    by 風文
    2022/02/01 by 風文
    Views 175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7.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753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8.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754 

    통속어 활용법

  9. No Image 10Jul
    by 風文
    2022/07/10 by 風文
    Views 1754 

    지식생산, 동의함

  10.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11. No Image 26May
    by 風文
    2022/05/26 by 風文
    Views 1757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12.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757 

    드라이브 스루

  13.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759 

    한 두름, 한 손

  14. No Image 27Jun
    by 風文
    2023/06/27 by 風文
    Views 1761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15.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76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6. No Image 06Jun
    by 風文
    2020/06/06 by 風文
    Views 1766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17. No Image 18Oct
    by 風文
    2023/10/18 by 風文
    Views 176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18. No Image 26May
    by 風文
    2023/05/26 by 風文
    Views 1771 

    ‘이’와 ‘히’

  19. No Image 06Feb
    by 風文
    2023/02/06 by 風文
    Views 1772 

    국가의 목소리

  20. No Image 09May
    by 風文
    2020/05/09 by 風文
    Views 1774 

    백열 / 풋닭곰

  21. No Image 29Jan
    by 風文
    2022/01/29 by 風文
    Views 1774 

    정치의 유목화

  22. No Image 28May
    by 風文
    2023/05/28 by 風文
    Views 1780 

    아이 위시 아파트

  23. No Image 18Apr
    by 風文
    2023/04/18 by 風文
    Views 1782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24.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786 

    오염된 소통

  25. No Image 11Sep
    by 風文
    2022/09/11 by 風文
    Views 1786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