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30 00:22

사저와 자택

조회 수 12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저와 자택

한국말에는 서로의 관계를 고려해서 조심해 써야 할 말들이 매우 많다. 존댓말만이 아니라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처럼 행여 오해 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의 어휘가 다양하고 다채롭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러한 세세한 구별이 과연 꼭 필요한가 하는 물음도 생긴다.

그 가운데 하루빨리 개선되었으면 하는 대표적인 것이 무심코 튀어나오는 전근대적인 표현들이다. 나이든 남자를 ‘영감’이라고 한다든지, 이미 고어가 되었어야 할 ‘아녀자’라는 말이 아직도 사전에 올라 있는 것이라든지, 같은 성인들 사이에서 손위 손아래 따지는 것 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아직 전근대적 요소가 버젓이 살아 있음을 보여 준다. 제대로 ‘시민사회’가 무르익지 못했다는 말이다. 언어만이 아니라 종종 터져나오는 약자에 대한 ‘갑’의 만행을 보면 분명히 전근대 사회의 양반이나 토호들이 머슴과 종들한테 해대던 패악질과 똑 닮지 않았는가?

대통령이 자리에서 물러나 본래 살던 집으로 돌아갔다. 너도나도 그 집을 ‘사저’라고 부른다. 사저는 관저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관저는 고위직에 있는 사람한테 제공된 집이다. 그러고 보니 사저라는 말 역시 그리 ‘현대적 표현’은 아니다. 공직이 끝나면 당연히 ‘자택’ 혹은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것이 옳다. 듣자 하니 누군가는 ‘마마’라는 표현까지 했다고 한다.

물러난 대통령은 남달리 ‘영애, 시해, 아우라’ 등 우리의 시대정신과 어긋나는 비범한 말을 많이 들으며 살았다. 그러니만큼 그저 그런 보통사람의 삶과 다른 길을 걸었고 결국은 그것 때문에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 모든 사람의 삶에 좋은 교훈으로 삼기 위해서라도 그에게 덮어씌워져 있던 ‘전근대적 언어’를 우리 손으로 거두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71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30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296
    read more
  4.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Date2022.08.29 By風文 Views1284
    Read More
  5. 더(the) 한국말

    Date2021.12.01 By風文 Views1285
    Read More
  6. 아줌마들

    Date2022.01.30 By風文 Views1285
    Read More
  7.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Date2022.09.07 By風文 Views1285
    Read More
  8. 말하는 입

    Date2023.01.03 By風文 Views1289
    Read More
  9. 피동형을 즐기라

    Date2023.11.11 By風文 Views1289
    Read More
  10. 마그나 카르타

    Date2022.05.10 By風文 Views1291
    Read More
  1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Date2022.06.18 By風文 Views1293
    Read More
  12. 울면서 말하기

    Date2023.03.01 By風文 Views1293
    Read More
  13. 예민한 ‘분’

    Date2023.05.29 By風文 Views1294
    Read More
  14. 주시경, 대칭적 소통

    Date2022.06.29 By風文 Views1295
    Read More
  15.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Date2022.08.28 By風文 Views1295
    Read More
  16. 말의 미혹

    Date2021.10.30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17. 사저와 자택

    Date2022.01.30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18. 국가 사전을 다시?(2,3)

    Date2022.10.21 By주인장 Views1296
    Read More
  19. 용찬 샘, 용찬 씨

    Date2023.04.26 By風文 Views1296
    Read More
  20. 왕의 화병

    Date2023.11.09 By風文 Views1299
    Read More
  21. 조의금 봉투

    Date2023.11.15 By風文 Views1301
    Read More
  22. 꼬까울새 / 해독, 치유

    Date2020.05.25 By風文 Views1302
    Read More
  23. 금새 / 금세

    Date2023.10.08 By風文 Views1302
    Read More
  24. 까치발

    Date2023.11.20 By風文 Views1302
    Read More
  25.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Date2022.07.11 By風文 Views130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