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0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3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8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907
3146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6950
3145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7969
3144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359
3143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229
3142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590
3141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850
3140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717
3139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489
3138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059
313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469
3136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712
3135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481
3134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108
3133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339
3132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244
3131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769
3130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545
3129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857
3128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219
3127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5987
3126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413
3125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