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0 18:12

법률과 애국

조회 수 6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법률과 애국

쉽게 믿어지지는 않겠지만 정치, 법률, 종교 등의 사회제도는 언어가 그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언어가 돈이나 권력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특히 법률은 온통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시피 한 제도이다. 그래서 언어를 잘 관리해야 하고 언어의 기능에 적절히 적응해야 한다. 그렇지만 법률이 모든 언어를 마구잡이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법률적으로 사용 가능한 ‘구체적인 개념’을 가진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요즘 국가공무원법 개정안에서 ‘애국심’이라는 용어가 공무원으로서 필요한 핵심 가치의 하나로 지정된 모양이다. 애국심은 마치 기쁨이나 슬픔, 그리움처럼 매우 감성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의 하나이다. 이러한 심리적 현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는 무척 어렵다. 나라 생각을 하면 그저 그냥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하고, 속이 상하기도 하는 것이지 애국가를 4절까지 다 부른다고 해서 애국심이 강한 것은 아니지 않은가?

대통령이 애국을 강조한다고 하는데, 정치인들이 애국을 강조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법률 전문가들이 법안에 그 단어를 쓰는 것은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마치 교육법에 제자 사랑 조항이, 혹은 군법에 군인은 용감해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간다고 생각해 보자. 그것은 법이 아니라 문학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법률적인 합목적성을 이렇게 감성적이고도 직관적인 개념에 의존한다면 공무원 제도의 투명성은 보나 마나 상처를 받게 된다.

우리의 근대 이전 사회에서 충성과 효도, 그리고 열녀의 길을 법률에서도 강조하고 철학에서도 기본으로 삼았지만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는 시민 정신을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어느 모로 보더라도 이것은 시대착오적이다. 이런 복고적인 법 정신은 어서 극복되어야 한다. 애국이라는 단어는 반란이나 폭동을 일으키는 자들도 무척 애용했던 말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720
337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991
3369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995
3368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997
3367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000
3366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005
3365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006
3364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013
3363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013
3362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014
3361 내일러 風文 2024.01.03 1014
3360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17
3359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017
3358 '-시키다’ 風文 2023.12.22 1020
3357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021
3356 뒷담화 風文 2020.05.03 1022
335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023
335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024
3353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026
3352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028
3351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031
3350 상석 風文 2023.12.05 1031
334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