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1 18:29

배뱅잇굿

조회 수 1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뱅잇굿

‘서도소리의 명인, 국악 근대사의 살아있는 전설’로 대변되는 이가 있다. 서도소리 예능 보유자 이은관 선생이다. 지난 월요일 백제 설화 <도미의 아내>를 서도소리로 엮어 부르는 그를 화면에서 만났다. 올해 아흔일곱인 명인의 소리는 여전히 카랑하고 쩌렁했다. 17분45초 동안 이어진 절창을 넋을 놓고 지켜보았다. 어려운 한자 성어를 자막으로 풀어주는 등 우리 소리를 쉽게 풀어내려 한 제작진의 배려가 엿보였다.

 ‘화용월태는 양귀비요(꽃과 달 같은 자태는 양귀비를 닮았고)’, ‘똑같이 가장(변장)을 시켜’와 같이 대체로 잘 옮겼지만 ‘화촉동방(첫날밤에 켜는 초에) 불 밝힐 제’, ‘하해(하늘과 땅) 같은 우리 낭군’처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화촉동방(華燭洞房)은 ‘첫날밤에 신랑 신부가 자는 방’이니 괄호는 ‘화촉’ 뒤에 들어서야 맞는다. 큰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인 하해(河海)를 ‘하늘과 땅’으로 설명한 것은 잘못이다.

 이은관 선생의 공연을 보며 ‘배뱅이’가 떠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왔구나, 왔소이다, 왔소이다~’로 유명한 이 타령을 표준국어대사전은 ‘배뱅잇굿’으로, 우리말큰사전은 ‘배뱅이굿’으로 다루었다. ‘배뱅잇굿[배뱅읻꾿]’은 ‘한글맞춤법 제30항’에 해당된다고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서도소리보존회 관계자와 동료 아나운서의 발음은 하나같이 예삿소리로 끝나는 [배뱅이굳]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에는 ‘배뱅이굿보존회’가 있고 문화재청 누리집에도 ‘배뱅이굿’으로 올라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 가운데 ‘-굿’으로 끝나는 낱말 282개 중에 [-꾿]으로 소리나는 경우는 ‘당굿’, ‘멧굿’ 등 몇 개뿐이고 대부분 [-굳]이다. ‘배뱅잇굿’은 1984년 처음 신문에 등장했지만 ‘배뱅이굿’은 1935년 이후 꾸준히 기사에 쓰이고 있고 2000년 이후 검색 결과도 배뱅이굿이 훨씬 많다. ‘배뱅잇굿[배뱅읻꾿]’을 바루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73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068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555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5. No Image 29May
    by 風文
    2023/05/29 by 風文
    Views 1557 

    예민한 ‘분’

  6.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558 

    법과 도덕

  7. No Image 30Jan
    by 風文
    2022/01/30 by 風文
    Views 1558 

    사저와 자택

  8.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560 

    난민과 탈북자

  9. No Image 22Jun
    by 風文
    2022/06/22 by 風文
    Views 1560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10. No Image 15Jun
    by 風文
    2022/06/15 by 風文
    Views 1562 

    정보와 담론, 덕담

  11. No Image 28Jul
    by 風文
    2022/07/28 by 風文
    Views 1563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12. No Image 01Mar
    by 風文
    2023/03/01 by 風文
    Views 1563 

    울면서 말하기

  13. No Image 31May
    by 風文
    2023/05/31 by 風文
    Views 1563 

    김 여사

  14.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56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15.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564 

    금새 / 금세

  16. No Image 01Sep
    by 風文
    2022/09/01 by 風文
    Views 1566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17. No Image 28Aug
    by 風文
    2022/08/28 by 風文
    Views 1568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18.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569 

    외래어의 된소리

  19. No Image 08Feb
    by 風文
    2022/02/08 by 風文
    Views 1570 

    언어적 적폐

  20. No Image 20Nov
    by 風文
    2023/11/20 by 風文
    Views 1574 

    까치발

  21. No Image 19Jul
    by 風文
    2022/07/19 by 風文
    Views 1575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22.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578 

    유신의 추억

  23. No Image 20Jul
    by 風文
    2022/07/20 by 風文
    Views 1578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24. No Image 14Nov
    by 風文
    2023/11/14 by 風文
    Views 1582 

    본정통(本町通)

  25. No Image 17Jun
    by 風文
    2022/06/17 by 風文
    Views 1584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