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86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2
25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213
24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487
23 넋두리 風磬 2006.10.30 8545
22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47
21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70
20 나리 風磬 2006.10.10 16949
19 꼬투리 風磬 2006.10.10 13688
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46
17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499
16 곤죽 風磬 2006.09.29 12391
1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69
1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61
13 고뿔 風磬 2006.09.16 15557
12 고명딸 風磬 2006.09.16 15710
1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567
10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182
9 겻불 風磬 2006.09.14 16091
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194
7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85
6 요, 오 風磬 2006.09.09 20297
5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