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84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숙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밤 8시에서 9시쯤에 가장 많이 분비되고 새벽 세 시가 넘어가면 양이 급격히 감소한다. 그러니 잠잘 시간을 놓치면 시곗바늘이 새벽을 향해 달려도 눈이 말똥말똥해지는 게 이해된다. 요즘 늦더위에 자주 이런 일을 겪는다면 잣콩국수를 먹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국수 면발에는 멜라토닌이 함유돼 있고 콩과 견과류는 멜라토닌 분비를 도와주기 때문이다.

"뜨거운 물에 국수를 넣고 한소끔 끓어오르면 찬물을 붓고 다시 삶는다. 그다음은 건져서 얼음물에 헹군 뒤 체에 받혀 물기를 빼준다." 잣콩국수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 글의 일부분이다. 조리법을 설명한 글을 보면 이처럼 '체에 받히다' 또는 '체에 받치다'라고 쓴 걸 자주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소에게 엉덩이를 받혔다"와 같은 경우에 쓰고, '받치다'는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란 뜻으로 "항아리 아래에 벽돌을 받쳐 기울어지는 걸 막았다"처럼 사용한다. 건더기와 액체를 체와 같은 거르는 장치에 올려 액체를 분리하는 것을 표현하려면 '받히다'나 '받치다'가 아니라 '밭치다'를 써야 한다. '밭치다'는 '밭다'를 강조해서 이르는 말이다. "항아리에 담근 술을 체에 밭아/밭쳐 거른 후 술지게미는 먹기도 했다" 처럼 쓰는 게 제대로 사용한 사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86
158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57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86
156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588
155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13
154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17
153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1
15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43
151 재다, 메우다, 메기다 바람의종 2010.04.25 16656
150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70
149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714
148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29
147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38
146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765
»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42
144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17
143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927
142 나리 風磬 2006.10.10 16953
141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82
140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95
139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98
138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088
137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