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88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침대에서 '뭉기적'거리거나 뒹굴대기 일쑤다." 그렇다면 나는 게으른가? '굿바이 게으름'의 저자 문요한은 게으름이란 움직임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계획만 세우다 허송세월하거나 선택의 순간을 늘 미루거나 결정권을 남에게 떠안기는 수동성이야말로 삶에 걸림돌이 되는 게으름이란 것이다.

 할 일을 하면서 스스로 택한 휴식이라면 '밍기적'대는 것 또한 일상의 여유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조금 큰 동작으로 자꾸 게으르게 행동하는 것 또는 몸을 조금 큰 동작으로 느리게 비비대는 것을 많은 사람이'뭉기적' '밍기적'을 써서 표현하는 건 수용할 수 없다. '밍그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뭉그적'을 어근으로 한 '뭉그적거리다' '뭉그적대다' '뭉그적이다'만 표준어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일요일엔 늘어져 뭉기적거려야 재충전되는 기분이 들지 않아?" "책상 앞에서 하루 종일 밍기적대고는 있지만 도저히 집중할 수가 없어" "그는 고단했던 하루를 핑계 삼아 이불 속에서 눈만 겨우 꺼내 놓고 밍그적이고 있었다"는 '뭉그적거려야' '뭉그적대고는' '뭉그적이고'로 고쳐야 맞다.

 '뭉그적'을 두 번 반복해 게으르게 행동하거나 몸을 느리게 비비대는 모양을 나타내는 '뭉그적뭉그적' 역시 '뭉기적뭉기적' '밍기적밍기적' '밍그적밍그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보다 좀 더 작은 느낌의 말은 '몽그작몽그작'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58
3216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662
3215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64
3214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666
3213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666
3212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67
321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667
3210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668
3209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669
32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669
3207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672
3206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74
3205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74
3204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77
3203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678
3202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79
320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83
32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684
3199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684
3198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86
3197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687
3196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89
319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