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19 06:52

찰라, 찰나, 억겁

조회 수 205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찰라, 찰나, 억겁

불교는 우리 민족과 오랜 세월을 같이했다. 그래서인지 우리 문화에는 불교적 색채가 다양하게 녹아들어 있다. 언어 역시 불교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게 많은데 그중 하나가 '찰나'와 '억겁'이다. '찰나'를 발음하기 어려워서인지(표준 발음은 [찰라]) "문을 열려는 찰라" "버스가 떠나려는 찬라"처럼 잘못 쓰는 예가 많다. '억겁' 역시 '겁'을 '겹'(면과 면, 선과 선이 그 수만큼 거듭됨을 나타내는 말)'으로 착각해 "억겹의 세월"과 같이 '억겹'으로 틀리게 쓰는 경우가 있다.

 '찰나'는 산스크리트어의 '크샤나'에서 온 말로 '생각이 스치는 한 순간처럼 짧다'는 의미다. 그 길이에 대해서는 손가락을 한 번 튕기는 사이 65찰나가 흐른다거나 1/75초에 해당한다는 등 많은 설이 있다.
 '겁'은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이 무한히 긴 시간' '하늘과 땅이 한 번 개벽한 때에서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니 '억겁'은 얼마나 더 긴 시간을 의미하는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겁'은 '천년에 한 번 천상의 선녀가 지상으로 내려와 노니는데 그 옷자락이 바위에 닿아 큰 바위가 닳아 없어지는 기간'이라 비유적으로 말하기도 한다. 주위 사람들은 '억겁의 인연'을 통해 만났을 것이다. 찰나의 감정으로 억겁의 인연을 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건 어떨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15
3369 사리 風磬 2006.12.26 8577
3368 살림 風磬 2006.12.26 6334
3367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650
3366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206
3365 삿대질 風磬 2006.12.29 7031
3364 샅샅이 風磬 2006.12.29 6499
3363 샌님 風磬 2006.12.29 10673
3362 서낭당 風磬 2006.12.29 7981
3361 서울 風磬 2007.01.19 7487
3360 선비 風磬 2007.01.19 10216
3359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961
3358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95
3357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414
3356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5005
3355 안갚음 風磬 2007.01.19 8890
3354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44
335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847
3352 억수 風磬 2007.01.19 8767
3351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04
3350 오랑캐 風磬 2007.01.19 9175
3349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