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19 06:52

찰라, 찰나, 억겁

조회 수 2054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찰라, 찰나, 억겁

불교는 우리 민족과 오랜 세월을 같이했다. 그래서인지 우리 문화에는 불교적 색채가 다양하게 녹아들어 있다. 언어 역시 불교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게 많은데 그중 하나가 '찰나'와 '억겁'이다. '찰나'를 발음하기 어려워서인지(표준 발음은 [찰라]) "문을 열려는 찰라" "버스가 떠나려는 찬라"처럼 잘못 쓰는 예가 많다. '억겁' 역시 '겁'을 '겹'(면과 면, 선과 선이 그 수만큼 거듭됨을 나타내는 말)'으로 착각해 "억겹의 세월"과 같이 '억겹'으로 틀리게 쓰는 경우가 있다.

 '찰나'는 산스크리트어의 '크샤나'에서 온 말로 '생각이 스치는 한 순간처럼 짧다'는 의미다. 그 길이에 대해서는 손가락을 한 번 튕기는 사이 65찰나가 흐른다거나 1/75초에 해당한다는 등 많은 설이 있다.
 '겁'은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이 무한히 긴 시간' '하늘과 땅이 한 번 개벽한 때에서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니 '억겁'은 얼마나 더 긴 시간을 의미하는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겁'은 '천년에 한 번 천상의 선녀가 지상으로 내려와 노니는데 그 옷자락이 바위에 닿아 큰 바위가 닳아 없어지는 기간'이라 비유적으로 말하기도 한다. 주위 사람들은 '억겁의 인연'을 통해 만났을 것이다. 찰나의 감정으로 억겁의 인연을 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건 어떨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24
3370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216
3369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19
3368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221
336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222
3366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222
3365 쓰봉 風文 2023.11.16 1224
3364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27
336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227
3362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228
3361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29
3360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9
3359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34
3358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236
3357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236
3356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237
3355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237
3354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38
335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9
3352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239
3351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40
3350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40
3349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