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30 16:47

한계와 한도

조회 수 844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한계와 한도

9초75. 10년 전 스포츠과학자들은 육상 100m에서 낼 수 있는 최고 속도를 이렇게 예측했다. 현재 공식 세계기록은 9초77. 10년 전 예측에 거의 도달했다. 스포츠과학의 발달로 최근엔 10년 전 추정치보다 기록을 더욱 단축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과연 100m의 인간 한계는 얼마일까?

 '한계(限界)'는 사물.능력.책임 따위가 실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또는 그런 범위를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한 네덜란드 교수가 '육상 100m의 한계는 9초50'이란 기존 학자들의 예상치보다 더 낮춘 9초29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에서 '한계'는 사람이 100m를 9초29보단 빨리 뛸 수 없다고 여긴다는 뜻으로 쓰였다. 이처럼 '한계'는 어떤 범위 이상은 없다고 볼 때 사용한다.

 '한계'와 유사한 말로 '한도(限度)'가 있다. 일정한 정도 또는 한정된 정도를 일컫는 말로 "다리운동을 할 때는 허리나 무릎에 부담이 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하는 게 좋다" "내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전하고 싶다"와 같이 쓴다. 주로 어떤 범위 이상은 넘어설 수 없다고 보는 경우에 사용한다.

 두 낱말이 범위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쓰임이 비슷한 것 같지만 정해진 범위 이상은 없다고 볼 땐 '한계', 정해진 범위 이상은 넘을 수 없다고 여길 땐 '한도'를 써서 표현한다. "인간이 지닌 시각 능력의 한도는 24분의 1초다"처럼 '한계'가 올 자리에 '한도'를 사용하거나 "1만원 한계 내에서 물건을 사라"와 같이 '한도' 대신 '한계'를 쓰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76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32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43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97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40
176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64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05
»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48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86
172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36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203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35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67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656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75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25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50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21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67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45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00
16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095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