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7 12:08

첫번째, 첫 번째

조회 수 961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첫번째, 첫 번째

'처음'이라는 것은 그 이후의 어떤 것과는 달리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기도 한다. 그래서 '첫'이 '맨 처음의'를 뜻하는 관형사('첫 경험/첫 시험/첫 월급')임에도 '첫사랑, 첫눈, 첫인상, 첫걸음마, 첫손가락' 등은 합성어로 인정돼 뒷말과 붙여 쓴다. 그러면 '첫번째/ 첫 번째'는 어떻게 써야 할까?

'첫 번째'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째'로 이뤄진 말로, 맨 처음의 차례나 횟수를 뜻한다. 그러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써야 한다. 일부 사전에서는 '첫 번째'의 경우 '첫'이 '두 번째, 세 번째…'의 '두, 세…'와는 달리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맨 처음'의 뜻을 나타낸다고 봐서 합성어로 인정해 붙여 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첫'이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두, 세…'는 수를 나타내지만 모두 관형사이므로 특별히 '첫'만 뒷말과 붙여 쓸 이유가 없다. 더구나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와 연속성이 있는 말이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첫번째, 두번째…아흔아홉번째…'처럼 모두 붙여 쓰려면 이들을 모두 합성어로 보아야 하는데, 무한으로 이어지는 수와 '번째'의 결합을 모두 합성어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를 포함해 관형사 뒤에 '번째'가 이어진 말은 '첫 번째, 두 번째…아흔아홉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03
3062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바람의종 2011.11.15 18804
3061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723
3060 초를 치다 바람의종 2010.09.05 13391
3059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1973
3058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19
3057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81
3056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05
3055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40
3054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261
3053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725
3052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137
3051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32
3050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72
3049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85
3048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741
304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64
»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17
3045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08
3044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00
3043 철장신세 바람의종 2011.11.21 10615
3042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205
3041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