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90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첫눈이 오는 날 다시 만나요." 이렇듯 겨울 사랑은 첫눈과 함께 온다. 아침부터 잿빛으로 잔뜩 찌푸린 하늘을 보니 금세라도 눈이 '①내릴듯 하다/ ②내릴 듯하다/ ③내릴듯하다'.

 앞글에서 ① ② ③의 띄어쓰기 중 어느 것이 맞을까? 정답은 ①은 틀리고 ②와 ③은 맞다. 이렇듯 '듯'과 '하다'가 연결된 말은 띄어쓰기를 할 때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듯'과 '하다'가 결합하는 형태는 '듯'이 어간 다음에 바로 오는 경우("변덕이 죽 끓듯 하다/ 그는 그 많은 돈을 떡 주무르듯 한다")와 관형사형 다음에 오는 경우("오늘은 좋은 일이 있을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어미 '-듯'과 동사 '하다'로 나누어지는 구조다. 이때의 '-듯'은 '-듯이'의 준말로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의 '가듯'과 같이 어간에 바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끓듯 하다'처럼 띄어 쓴다. 반면 두 번째의 '듯하다'는 전체가 보조용언이다. 보조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있을 듯하다/있을듯하다' 둘 다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앞말이 언제나 관형형이다.

 간단히 요약하면, 앞말이 어간이면 '-듯'이 어미이므로 '하다'와 띄어 쓰고, 관형형이면 '듯하다' 전체가 보조용언이므로 붙여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71
13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909
135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528
134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815
13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748
132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821
13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357
130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2023
129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89
128 ○○노조 風文 2022.12.26 1705
127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538
12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711
125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887
124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2081
123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502
122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68
121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94
120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680
119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563
118 “김” 風文 2023.03.06 2084
11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720
11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774
115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