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9

~노, ~나

조회 수 8920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 ~나

 "무 대리와 왕 대리 중 한 명이 영업 2부로 간다며?" "그리 친한데 헤어지려 하겠노?" "사장님 지시라는데 어쩔 수 있나유."

 방언은 문학이나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배경 등을 나타내는 긴요한 도구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인물의 대화를 생생하게 표현할 때도 자주 사용된다. 그런데 방언 중에는 용법이 특이한 것들이 있어서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영남 방언의 어미인 ''-노''의 경우가 그러하다.

 "니 정말로 그랬노? 언제 그랬노?"처럼 ''-노''만 붙이면 영남식의 의문문이 되는 걸로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는 "니 정말로 그랬노?"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니 정말로 그랬나?"라고 한다. 반면 "언제 그랬노?"는 자연스러운 표현이다. 차이가 뭘까?

 앞에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가 있느냐가 열쇠다. 앞에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 있으면 '-노'를 붙이는 게 자연스럽지만 그렇지 않을 때 '-노'를 쓰면 대체로 부자연스럽다고 느끼게 된다. 이때는 '-노' 대신 '-나' 등의 어미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어디 가노?" "뭐 하노" "왜 하노?" "어떻게 하노?" 등은 자연스럽지만 "그들이 헤어지려 하겠노?" "철수는 공부 잘하노?"는 어색하다. 이때는 "헤어지려 하겠나?" "공부 잘하나?" 등으로 쓰는 게 제대로 된 용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87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57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529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12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583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46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527
3342 망신 風文 2023.06.09 1590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01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46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35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658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29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473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21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90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09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436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80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11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191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14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4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