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575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9
180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26
179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977
178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5988
177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015
176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46
17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53
174 단도리 바람의종 2008.02.04 16060
173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73
172 겻불 風磬 2006.09.14 16076
171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080
170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123
169 개차반 風磬 2006.09.14 16186
168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193
167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238
166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296
165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98
164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16
163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17
162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350
161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473
160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88
159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