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2 01:27

'막' 띄어쓰기

조회 수 1173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 띄어쓰기

우리나라 술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막걸리는 농부들이 주로 마신다 하여 농주(農酒), 빛깔이 흐리다고 하여 탁주(濁酒)라고 불리며 백성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막걸리에서 보듯 우리말에서 '막'은 친근감을 주기도 하지만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의 의미를 부가하는 단어로도 쓰인다. 이 '막'은 '그는 막살던 생활습관에서 이제 막 벗어났다'처럼 동사 앞에서는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막 벗어났다'의 '막'은 '바로 지금'이나 '바로 그때'를 나타내는 부사로 띄어 써야 한다. '공항에 도착하니 비행기가 막 떠났다'처럼 쓰인다. 또한 '밀려오는 슬픔에 막 울었다'처럼 '몹시 세차게'를 뜻하는 '막'도 띄어 써야 한다. 이때 '막'은 '마구'의 준말이다.

반면 '막살다'의 '막'은 일부 동사에 붙어 '주저없이' '함부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붙여 써야 한다. '김 사장은 직원들을 막보고 무시했다' '막가는 말에 흥분했다'처럼 쓰인다. 또한 막소주·막국수·막노동처럼 명사 앞에서 '거친' '품질이 낮은' '닥치는 대로'를 뜻하는 '막'은 접두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95
48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03
47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986
46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572
45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87
»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732
43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86
42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00
41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15
40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527
39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530
38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217
37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88
36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844
35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623
34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27
33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735
32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19
31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00
30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6984
29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88
28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495
27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79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