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1004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51
323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601
323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603
3236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606
323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606
3234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608
3233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610
3232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610
3231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12
3230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613
3229 순직 風文 2022.02.01 1616
322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17
322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19
3226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20
3225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21
3224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26
3223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628
3222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29
3221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629
322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629
3219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630
3218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631
321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6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