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29

곁불, 겻불

조회 수 824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곁불, 겻불

'모닥불 피워 놓고/마주 앉아서/우리들의 이야기는/끝이 없어라/인생은 연기 속에/재를 남기고/말없이 사라지는/모닥불 같은 것…' 인생에 대한 상념과 예감을 노래한 박인희의 '모닥불'중 일부다. '모닥불'처럼 만추(晩秋)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곁불'이 있다. 춥다 싶으면 장터 등에서 몇명이 모여 나눠 쬐는, 정감 있는 불이다. '무사는 얼어죽더라도 곁불을 쬐지 않는다'처럼 쓰이는 '곁불'을 '겻불'과 혼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곁불'이 바른 표현이다.

'겻불'은 벼·보리·조 따위를 찧고 난 껍질을 태울 때 나오는 미미한 불기운이다. '군중의 서슬이 겻불 사그라지듯 누그러졌다'에서 볼 수 있다. '곁불'의 '곁'과 뜻이 비슷한 단어로 '옆'이 있다. 그 쓰임새의 차이도 재밌다. '옆'은 사물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면 또는 그 근처를 말한다. 상대방은 생각도 없는데 요구하고 알려줌으로써 대접을 받는다는 뜻의 '옆 찔러 절 받기'와 '옆으로 눕다·옆을 살피다' 등이 있다.

이와 달리 '곁'은 '옆'보다 넓은 의미로 대상을 중심으로 한 근방이나 가까운 주변 모두를 나타낸다. '환자 곁을 지키다' '아이는 엄마 곁에 바짝 다가앉았다'등이 그 용례며, 다른 사람에게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속을 터준다는 뜻의 '곁을 주다', '전쟁 통에 단신 월남한 그에겐 가까운 곁이 없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같이 할 수 있는 대상을 지칭할 때도 '곁'이 사용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27
301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16
3017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29
3016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58
3015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9
301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3
3013 겻불 風磬 2006.09.14 16026
3012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38
3011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37
3010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54
3009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73
3008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74
300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57
300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45
300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09
300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150
300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35
»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47
3001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97
3000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26
2999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79
2998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38
299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