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0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말뜻말맛
한겨레









‘속’과 ‘안’은 본디 다른 말인데, 요즘은 헷갈려 뒤죽박죽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속’은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물체의 안쪽 부분” “일정하게 둘러싸인 것의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이라 하고, ‘안’은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이라 해놨다. 어떻게 다른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 밖에도 여러 풀이를 덧붙였으나 그건 죄다 위에 풀이한 뜻에서 번져나간 것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다. 본디뜻을 또렷하게 밝혀놓으면 번지고 퍼져나간 뜻은 절로 졸가리가 서서 쉽게 알아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본디뜻을 흐릿하게 해놓으니까 그런 여러 풀이가 사람을 더욱 헷갈리게 만들 뿐이다.


‘속’은 ‘겉’과 짝을 이뤄 평면이나 덩이를 뜻하고, ‘안’은 ‘밖’과 짝을 이뤄 텅빈 공간을 뜻한다. ‘속’은 ‘겉’과 하나가 돼 붙어 있지만, ‘안’은 ‘밖’과 둘로 나뉘어 있다. 그러니까 국어사전이 보기로 내놓은 “사람 하나 겨우 들어갈까 말까 한 좁은 골목 ‘속’에 쓰러져 가는 판잣집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 서 있었다”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 이런 것들은 잘못 쓴 보기로 내세워야 마땅한 것들이다. 골목에는 ‘속’이 없고 ‘안’이 있을 뿐이고, 지갑에는 ‘안’이 없고 ‘속’이 있을 뿐이다. 우리 속담 “독 안에 든 쥐” 또는 “보선이라 속을 뒤집어 보이겠나!” 같은 쓰임새를 눈여겨 살피면 깨달을 수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59
312 마스카라 바람의종 2010.06.20 13862
311 앙갚음, 안갚음 바람의종 2011.11.27 13870
310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877
309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81
308 늑장, 늦장/터뜨리다, 터트리다/가뭄, 가물 바람의종 2008.12.27 13895
307 입추의 여지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8 13915
306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17
305 폭발, 폭팔, 폭파시키다 바람의종 2010.02.25 13925
304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927
303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3932
302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965
301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69
300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3999
299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4005
298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11
297 여보 바람의종 2010.07.05 14051
296 이녁 바람의종 2007.03.15 14059
295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64
294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78
293 늘상, 노상, 천상, 천생 바람의종 2009.11.03 14078
292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089
291 진안주 바람의종 2010.10.30 140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