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1.04 13:22

두루 흐린 온누리

조회 수 2105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루 흐린 온누리


‘사람이 아니무니다.’ 코미디의 대사가 아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뽑았던 ‘올해의 인물’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잡지가 1972년 ‘올해의 인물’을 선정하기 시작한 이후 사람이 아닌 것을 뽑은 첫 주인공은 컴퓨터. 당시 ‘경쟁자’는 베긴 이스라엘 총리, 대처 영국 총리, 영화 주인공 ‘이티’(ET)였다. 30년 전인 1982년의 일이다. 이렇듯 서양문화권은 한해를 마무리하며 사람이나 사물을 떠올리지만, 한자문화권인 한·중·일 삼국은 관념적인 한자로 지난해를 돌아본다. 

<중국신문망>은 ‘올해의 한자’로 ‘멍(夢)’을 선정해 발표했다. 올림픽 개최와 유인우주선 발사, 노벨상 수상을 비롯한 ‘중국의 꿈’이 실현된 성취감을 담은 것이라고 언론은 풀이했다.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가 꼽은 ‘올해의 한자’는 ‘가네(金)’이다. 소비세 증세 논란 따위의 돈 문제로 떠들썩했던 일본 경제를 반영한 것이라 한다. 한국의 <교수신문>이 고른 ‘올해의 사자성어’는 ‘거세개탁(擧世皆濁)’이다. ‘정권 끝자락에서 윤리와 도덕이 붕괴되고 편법과 탈법이 판을 치는 세상’을 반영했다는 게 선정에 참여한 한 교수의 말이다.

한·중·일 삼국이 한자에 세상을 담아내는 방법도 다르다. 중국과 일본은 한 글자, 한국은 사자성어이다. 고려 중엽부터 전해오는 시조의 4음절 음보에 맞기 때문일 것이다. 사물과 현상을 인식하는 방식의 다름은 ‘올해의 사자성어(한자·인물)’에서도 드러나는 걸 보니,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니스벳이 <생각의 지도>에서 공자의 후손과 아리스토텔레스 후손의 문화를 비교분석한 것은 괜한 게 아니었다. 한글날이 23년 만에 공휴일이 되는 새해부터는 ‘올해의 낱말(글월)’도 뽑아보면 어떨까. ‘거세개탁’이라면 ‘두루 흐린 온누리’나 ‘흐린 세상’, 시빗거리 많은 세상이라면 ‘따따부따’(딱딱한 말씨로 따지고 다투는 소리, 또는 그 모양)처럼 말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91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50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476
    read more
  4. 봄날은 온다

    Date2013.03.27 By윤안젤로 Views19889
    Read More
  5. 잔떨림

    Date2013.03.18 By윤안젤로 Views20780
    Read More
  6. 조개

    Date2013.02.05 By바람의종 Views19857
    Read More
  7. Date2013.01.25 By바람의종 Views17905
    Read More
  8. 어떠태?

    Date2013.01.21 By바람의종 Views20124
    Read More
  9. 등용문

    Date2013.01.15 By바람의종 Views18055
    Read More
  10. 두루 흐린 온누리

    Date2013.01.04 By바람의종 Views21057
    Read More
  11. 감질맛, 감칠맛

    Date2012.12.24 By바람의종 Views30565
    Read More
  12. 피랍되다

    Date2012.12.21 By바람의종 Views24178
    Read More
  13. 통음

    Date2012.12.21 By바람의종 Views21334
    Read More
  14. 상봉, 조우, 해후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22049
    Read More
  15. 폭탄주! 말지 말자.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19201
    Read More
  16. 외래어 합성어 적기

    Date2012.12.12 By바람의종 Views20474
    Read More
  17.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Date2012.12.12 By바람의종 Views24267
    Read More
  18.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Date2012.12.12 By바람의종 Views38141
    Read More
  19. 자잘못을 가리다

    Date2012.12.11 By바람의종 Views25966
    Read More
  20. 수뢰

    Date2012.12.11 By바람의종 Views17995
    Read More
  21. 금도(襟度)

    Date2012.12.10 By바람의종 Views17765
    Read More
  22. 박물관은 살아있다 2

    Date2012.12.10 By바람의종 Views23871
    Read More
  23. 달디달다, 다디달다

    Date2012.12.05 By바람의종 Views21434
    Read More
  24. 썰매를 지치다

    Date2012.12.05 By바람의종 Views21624
    Read More
  25. 자처하다, 자청하다

    Date2012.12.04 By바람의종 Views2622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