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2.19 14:01

12바늘을 꿰맸다

조회 수 12795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2바늘을 꿰맸다

의존명사 중에 ‘단위명사’라는 것이 있다. 수효나 분량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를 이른다. ‘돼지고기 한 근, 두부 한 모, 사과 한 접’에서 ‘근, 모, 접’이 단위명사다. 단위명사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명사라도 무엇을 세는 단위로 쓰일 수 있으면 단위명사가 될 수 있다. ‘상자, 병, 가마니’ 등도 단위명사가 될 수 있다.

곡식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명사로 ‘말, 되, 홉, 작’ 등이 있고 연탄의 수량을 나타내는 ‘장’이 있다. 길고 가느다란 물건이 한 줌에 들어올 만한 양을 ‘모숨’, 조기를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을 ‘두름’, 북어 스무 마리를 ‘쾌’라고 한다. 신발에는 ‘켤레’, 직물 두루마리에는 ‘필’, 과일에는 ‘접’이 쓰인다. 외래어인 미터/킬로미터, 그램/킬로그램, 리터/데시리터, 아르/헥타르 등도 우리가 일상으로 쓰는 단위명사다. 단위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면 말맛이 살아난다. 연탄을 ‘한 개’라고 해도 통하지만 ‘한 장’이라고 하면 말이 착 달라붙는 느낌을 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6일 농구 시합 중 상대 선수의 팔꿈치에 입술을 부딪혀 12바늘을 꿰맸다.” 중앙 일간지 기사의 한 구절이다.

상처를 꿰맨 단위로 ‘바늘’을 썼다. 실을 꿴 바늘로 한 번 뜬 자국을 ‘땀’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12땀을 꿰맸다’고 해도 괜찮을 법하다. 사전은 이런 뜻의 ‘바늘’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언중은 상처를 꿰맨 단위로 ‘땀’을 쓰지 않고 ‘바늘’로 통일해 쓰고 있다. 사전이 ‘바늘’을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91
3370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604
3369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05
3368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21
3367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8921
3366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559
3365 호꼼마씸? file 바람의종 2010.03.07 8538
3364 호구 바람의종 2010.08.17 10266
3363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231
3362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256
3361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05
3360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283
3359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17
3358 바람의종 2007.09.22 8954
3357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51
3356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28
3355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42
3354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45
3353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06
3352 현수막, 펼침막 바람의종 2012.04.19 11615
3351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53
3350 헷갈리는 받침 바람의종 2010.08.03 10658
3349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4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