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72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91
202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550
20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59
200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474
19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817
19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136
19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649
19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843
»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725
194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59
193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45
19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815
191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47
190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3102
189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229
188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941
18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832
18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487
185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747
184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69
183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452
18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10083
181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7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