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8 04:30

‘대틀’과 ‘손세’

조회 수 1378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틀’과 ‘손세’

우리는 이따금 우리의 민속 씨름이나 일본의 전통 씨름인 스모 경기를 즐기게 된다. 여기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은 모두 몸집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대틀’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몸집이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우리의 백두장사급 씨름 선수나 일본 스모 선수의 몸집에 꼭 어울리는 말이다. “《꼭 내가 그려준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중열에게 호송길로 가는 길을 그려준 지질탐사단 단장은 한꺼번에 국수를 세 그릇이나 먹는 대틀의 사나이였다. 구리로 부은 듯 얼굴이며 목이며 손잔등까지 거무스름한 그는 청년 시절부터 오늘까지 25년간이나 이 일대에서….”(<먼 길>, 정창윤, 문예출판사, 1983년, 321쪽)와 같은 용례가 보인다.

우리는 의사를 전달하는 데서 음성으로 전하는 말 못지않게 눈짓이나 손짓으로도 마음을 전한다. 이때 손짓에 대하여 북녘에서는 ‘손세’라는 말을 흔히 쓴다. “《아무쪼록 잘 부탁합니다.》 박종학은 손이 떨려나는 것을 감추기 위하여 손세까지 써 가며 류창하게 인사말을 엮어나갔다. 리철범과 최성택은 대뜸 동지라고 부르며 나서는 이 뻔뻔스러운 놈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고난의 행군>,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6년, 53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60
180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88
179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90
178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238
177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76
176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13
175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49
17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1023
173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315
172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473
171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593
170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66
169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015
168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073
167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064
166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187
165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197
164 역겨움에 대하여, 큰일 風文 2022.09.22 1990
163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531
162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30
16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25
160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005
159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6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