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8 01:02

아우라

조회 수 987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우라

‘요즘은 예술품의 아우라가 증발하였다’, ‘그에게서 자신만의 아우라가 풍긴다’, ‘~의 아우라에도 주눅 들지 않고’, ‘~을 수련한 사람에게는 고유한 아우라가 생긴다’ 등에서 ‘아우라’라는 말이 보인다. 인터넷 상점의 이름으로도 많이 등장한다. 요 몇 년 전부터 자주 들리는 이 말이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을까 싶어 찾아보니, 언론 매체에서는 1994년에 처음 나타났다.(“판화만의 취약점이랄 수 있는 복제적 메커니즘으로 ‘아우라’를 상실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페인팅 붓질의 묘미를 강렬히 전달해줘 새로운 위상을 확보해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일보> 1994년 5월7일치 11면)

‘아우라’(aura)는 원래 독일말에서 ‘미묘한 분위기’ 또는 의학용어로서 몸에 이상이 생기기 전에 나타나는 현상을 뜻하는 ‘전조’(前兆)라는 의미다. 그러다가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베냐민이 ‘흉내낼 수 없는 예술작품의 고고한 분위기’라는 뜻으로 쓰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요즘 접하는 아우라의 뜻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도 의학용어로서는 1994년 이전에 이미 쓰였을 것이고, 철학용어로서도 그전에 쓰이던 것이 언론 매체에 등장하면서 일반으로 퍼지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아우라를 ‘오라’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영어식 발음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말이 아니다. 또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 대기 발광 현상인 ‘오로라’(aurora)와는 서로 관련이 없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95
2512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93
2511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84
2510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6
»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2508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477
2507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613
2506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492
2505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625
2504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59
2503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86
2502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9
2501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408
2500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628
2499 영어로 들어간 우리말 바람의종 2010.03.12 11172
2498 둥개다 바람의종 2010.03.12 11861
2497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70
24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3
24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29
2494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210
2493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85
2492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80
2491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