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21 10:10

‘첫날밤이요’

조회 수 968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첫날밤이요’

현대 서울말에는 보조사 ‘요’가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뭐해요?”라고 묻고 “신문 봐요.”라고 답한다. “뭐합니까?”라고 묻고 “신문 봅니다.”라고 답하는 예는 거의 들을 수가 없다. ‘요’는 존대를 나타내는 말이기는 하지만, 격식체는 아니다. 그러나 이 말이 격식체를 거의 몰아내 버린 상황이다.

‘요’는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을 가리지 않고 쓰인다. ‘요’로 종결된 문장은 뒤에 따라오는 문장부호에 따라 문장 종류가 가려질 정도다. ‘달이 밝아요?’ 하면 의문문, ‘달이 밝아요!’ 하면 감탄문이 된다. 서술어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고 여러 문장 성분에 다양하게 쓰인다. ‘제가요’ 하면 주어에, ‘밥을요’ 하면 목적어에, ‘빨리요’ 하면 부사어에 쓰인 것이다.

“첫날밤이요? 그냥 잤어요.” 지난 대선 때 대선후보 부인들을 인터뷰한 신문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신혼 첫날밤을 어떻게 보냈느냐는 짓궂은 질문에 대한 답인데, ‘첫날밤이요’라고 해서 ‘이요’를 썼다. ‘첫날밤’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있으므로 매개모음 격으로 ‘이’를 첨가한 것 같은데, ‘요’는 항상 ‘요’로 쓰일 뿐, ‘이요’라는 변이형태를 만들지 않는다.

그런데 신문, 방송 자막 할 것 없이 받침 밑에서는 ‘이요’를 마구 쓰고 있다. 큼지막하게 제목으로 달아놓은 것도 쉬 볼 수 있다. 더 이상 퍼뜨리지 않아야 할 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35
323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715
3237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877
3236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447
3235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06
323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73
32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332
3232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87
323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53
323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15
3229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85
322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82
3227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43
322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12
322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19
3224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37
322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738
322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53
3221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36
3220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33
321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702
32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98
3217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