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2.07 21:20

‘그러지 좀 마라’

조회 수 782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러지 좀 마라’

우리말의 용언(풀이씨)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있다. 동사는 본동사와 조동사로, 형용사는 본형용사와 보조형용사로 나뉜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문장에서 어떤 경우에도 따로 떨어져 있을 수 없다. 본용언이 먼저 오고 보조용언이 뒤따른다. “가지 마라”는 문장에서 ‘가지’는 본동사이고 ‘마라’는 조동사이다. 이때 ‘가지’와 ‘마라’ 사이에는 어떤 단어도 형태소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딱 하나의 예외가 있다. 본동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세월아 가지를 마라”에서 본동사 ‘가지’ 뒤에 붙은 ‘를’이 조사이다. 이때 들어가는 조사는 보조사다. 격조사는 문장 속 낱말의 격(格)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뜻을 더한다. 보조사가 격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주된 기능은 뜻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의 보조사는 격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지를 마라”에서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고 ‘가지를’은 당연히 목적어가 아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 이 규칙이 슬슬 깨어지고 있다. “제발 그러지 좀 말았으면 한다”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좀’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있다. 규칙대로라면 “제발 좀 그러지 마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런 표현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말로 흔히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글말에까지 침투한 것을 보면 하나의 문장 구조로 자리잡은 듯하다.

우재욱/시인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15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972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4716
    read more
  4.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677
    Read More
  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Date2010.05.07 By바람의종 Views13358
    Read More
  6.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170
    Read More
  7. ‘도와센터’ ‘몰던카’

    Date2024.01.16 By風文 Views1731
    Read More
  8. ‘대틀’과 ‘손세’

    Date2010.05.28 By바람의종 Views13775
    Read More
  9. ‘당신의 무관심이 …’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6531
    Read More
  10. ‘달 건너 소식’과 ‘마세’

    Date2010.05.31 By바람의종 Views10784
    Read More
  11.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314
    Read More
  12. ‘넓다´와 ‘밟다´의 발음

    Date2010.08.15 By바람의종 Views22730
    Read More
  1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1218
    Read More
  1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Date2022.07.07 By風文 Views1425
    Read More
  15. ‘끄물끄물’ ‘꾸물꾸물’

    Date2024.02.21 By風文 Views1631
    Read More
  16. ‘꾹돈’과 ‘모대기다’

    Date2010.05.09 By바람의종 Views13530
    Read More
  17. ‘김치’와 ‘지’

    Date2007.09.22 By바람의종 Views6975
    Read More
  18. ‘긴장’과 ‘비난수’

    Date2010.03.30 By바람의종 Views17962
    Read More
  19. ‘기쁘다’와 ‘즐겁다’

    Date2007.09.29 By바람의종 Views12399
    Read More
  20. ‘그러지 좀 마라’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7821
    Read More
  21. ‘괴담’ 되돌려주기

    Date2023.11.01 By風文 Views1589
    Read More
  22. ‘곧은밸’과 ‘면비교육’

    Date2010.04.26 By바람의종 Views10327
    Read More
  23. ‘고마미지’와 ‘강진’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8216
    Read More
  24. ‘경우’ 덜쓰기/최인호

    Date2007.04.25 By바람의종 Views7026
    Read More
  25.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Date2023.10.13 By風文 Views157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