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1.15 03:41

딤섬

조회 수 861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딤섬

만두(饅頭)는 약 3000년 전 중국 광둥 지방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 탄생 배경을 담은 이야기가 있으니, 제갈공명이 남만(南蠻)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만난 풍랑을 재우기 위해 사람의 머리 대신 만두를 빚어 고사를 지냈다는 것이다.

만두가 중국을 벗어나서 널리 퍼진 이제 그 원형을 원래의 표현인 ‘饅頭’로 가리키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만터우’라고 이르는데 소가 없는 찐 떡을 뜻하고, 일본에서는 아주 달리 ‘교자’(餃子, ギョ─ザ)라고 일컫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소가 있는 만두는 ‘자오쯔’(餃子)라 하며, 그 발음이 ‘交子’(‘자식을 내려주다’는 뜻)와 같아 예부터 길한 음식으로 친다고 한다. 요즘 유행하는 ‘딤섬’도 만두의 일종이다.

중국의 딤섬은 ‘차와 함께 즐기는 만두 형식의 간단한 음식’을 뜻하며 한입 크기로 만들고, 점심 식사로 2~3가지 딤섬을 먹거나 오후 간식으로 등장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딤섬이 찐만두 형태로만 통하는 면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찐 것을 비롯하여 튀긴 것과 구운 것도 있어 수천 가지나 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문점에 가면 종류가 꽤 많음을 알 수 있다.

‘딤섬’이란 말이 중국의 표준어는 아니며, 딤섬이 발달한 광저우 지방의 사투리 발음에서 유래하였고, 표준어로는 ‘뎬신’(點心)이 된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49
343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995
3432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991
343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1232
3430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230
342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1107
3428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141
342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324
3426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57
3425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551
3424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94
3423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55
3422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823
342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26
3420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394
341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687
341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436
3417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158
3416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61
3415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