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1.29 08:34

고니

조회 수 991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니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령도는 곡도(鵠島), 곧 고니섬이었다. 고구려의 땅이었으며 뒤로 오면서 고려 태조가 하얀 고니에 뒤덮이는 섬이라 하여 백령(白翎)이라 하였을 터. ‘곡’ 자가 나타내듯이 이 섬은 온갖 철새들의 낙원이었고, 특히 고니가 많이 살았다. 바다에 배를 띄우고 멀리 나가서 보면 섬 전체가 모두 날개로 덮인 듯하다.

고니는 언제 보아도 흰빛을 띠고 날아든다. 바탕이 아름다운 것은 꾸미지 않아도 아름답다. 해서 ‘고니는 멱을 감지 않아도 희다’(鵠不浴而白)라는 말이 생겼다. 고니가 울 때 ‘곡곡’(鵠鵠) 하며 운다고 했다. 곡(鵠)의 반절식 한자의 소리는 ‘고’(姑沃切)였으니 ‘곡곡-고고’가 됨을 알겠다. 오늘날의 중국 한자음으로는 ‘구구’가 되지만. 그러니까 곡곡은 ‘고고’로 소리를 내야 옳다. 하면 고니는 고고 하고 우는 새라 하여 그리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 꾀꼬리나 뜸부기 혹은 방울새도 녀석들이 우는 소리를 따서 새의 이름으로 삼는 일이 있으니 그러하다.

고니는 흔히 백조라 부른다. 진도에 가면 바닷가에서 겨울을 난다. 고니가 날아드는 장소는 진도 수유리 일원의 담수호다. 이곳은 천연기념물 101호로 지정되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고니가 많이 찾아들면 좋은 세월이 된다는데.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93
466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72
465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77
46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919
46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211
462 고뿔 風磬 2006.09.16 15818
461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491
460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70
459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62
4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6
457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78
456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3
455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68
454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708
45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64
452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201
451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450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70
449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84
448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86
»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14
446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7
445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