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9 23:39

흥정

조회 수 1016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흥정

언어예절

말로 하는 일에 흥정 아닌 게 드물다. 집안·사회 두루 사람 관계가 그러하며, 회사·나랏일도 대체로 이로써 이뤄지고 발전한다. 이를 격식화한 것이 약속, 곧 법·기준이다. 그것도 바뀔 수 있으므로 임시방편이다. 그러니 공사간에 늘 새로운 흥정이 이뤄지기 마련이다.

“흥정도 부조다”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리랬다”는 흥정을 좋게 여기는 속담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흥정을 ‘물건 값을 덜 주고 더 받으려는 수작’, ‘제 이익을 좀더 보려는 짓거리’로 좁히거나 낮잡아 쓰는 편이다. 이런 생각이나 풍토는 말을 가난하게 한다. 말의 가난은 그 말겨레의 정신을 가난하게 한다.

‘거래·협상·회담·상담·교섭·중개·수작 …’ 행위들을 싸잡아 ‘흥정’으로 일컫지 못할 게 없다.

흥정만큼이나 ‘장사’도 낮잡히는 경향이 있다. 사·농·공·상 차별이 사라진 자본주의 세상에서 ‘장사·흥정’을 값싸게 여기는 풍토를 어떻게 봐야 할까? 무슨 일자리 나누기와는 다른 결과를 부른다. 장사·흥정 자리는 ‘비즈니스·바겐·마케팅·로비 …’ 따위에 많이 내주었다.

“정치적 흥정, 흥정거리, 흥정 대상, 장물 흥정, 더런 흥정, 총선용 흥정 ….” 그 앞에 고깔을 씌워서라도 흥정을 써먹는 걸 보면 쓸모가 증명된다. 흥정에는 본디 거간·중개·변호·외교·조정·협상 따위 온갖 갈래가 있다. 관련된 학문 분야도 여럿이다. 이를 뭉뚱그리면 ‘흥정학·거래학’이 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14
343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502
3433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302
3432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774
3431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175
3430 요, 오 風磬 2006.09.09 20497
3429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320
342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373
3427 겻불 風磬 2006.09.14 16265
342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374
3425 게거품 風磬 2006.09.14 19749
3424 고명딸 風磬 2006.09.16 15882
3423 고뿔 風磬 2006.09.16 15751
342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840
3421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574
3420 곤죽 風磬 2006.09.29 12566
3419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710
34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300
3417 꼬투리 風磬 2006.10.10 13829
3416 나리 風磬 2006.10.10 17066
3415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2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