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3

집이 갔슴둥?

조회 수 688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이 갔슴둥?

고장말

‘-슴둥’은 표준어 ‘-습니까’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함북 지역과 동포들이 많이 사는 만주 ‘계동·연길·화룡·훈춘’ 등지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어째 아이 먹슴둥?”(<눈물젖은 두만강> 최일홍·재중) “안녕했슴둥?”(<함북방언사전>) ‘-슴둥’의 또다른 형태는 ‘-슴두’다. “아반님, 밤새 알려하심두?”(<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슴둥’과 대응하는 말로는 경상도 ‘-는교’, 제주 ‘-수과’, 전라 ‘-습디여’, 평안·함경 ‘-습네까’, ‘-습데까’ 등을 들 수 있다. ‘-는교’는 ‘-는가요’가 변해 된 말, ‘-수과’는 ‘합쇼체’ 어미 ‘-수-’에 ‘-과’가 결합된 것이다. “누가 똥 묻은 엽전 한 닢이 기럽어서 변소 펄라 카는 줄 아는교?”(<불의 제전> 김원일) “아버지, 그 지게 무사 그디 내비염수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네까’는 주로 평안 쪽에서 쓰이는데, 제주에서도 발견된다. “선생님은 어드렇게 해서 그런 보물을 구하섰습네까?(<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특히 ‘-습데까’는 ‘-슴둥’과 함께 주로 북녘에서만 발견되는 고장말로, 회상하며 물을 때 쓴다. “그리 오줌이 메랍데까?”(위 책), “지금 사과를 따고 있습데까?”(<남북한말 비교사전> 조재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40
2996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03
299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22
2994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29
2993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69
2992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73
2991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82
2990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87
298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5
2988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33
2987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059
2986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66
2985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2
2984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92
2983 바람의종 2008.09.26 5199
2982 바람의종 2009.03.18 5200
2981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12
2980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20
2979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25
297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32
2977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41
2976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9
2975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