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2

고양이

조회 수 655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짐승이름

“남산골 한 늙은이 고양이를 길렀더니/ 해 묵고 꾀들어 요망하기 여우로세/ … 백성들은 쥐 등쌀에 나날이 초췌하고/ 기름 말라 피 말라 피골마저 말랐다네.”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고양이’에 나오는 글이다. 여기서 늙은이는 일반 백성들이며, 쥐는 아전을, 고양이는 감사(수령)를 이른다. 백성들의 재물을 수탈하는 당시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혹은 고양이를 쥐 잡는 포졸에 비유한다. 고양이 묘(猫)를 뜯어보면, 해태 치에다 싹묘(苗)를 덧붙여 만든 글자임을 알 수 있다. 해태는 사람의 잘잘못을 알아차려 나쁜 사람을 만나면 받아 버린다. 싹 묘(苗)는 싹이라는 뜻 말고도 ‘작다-사냥하다’라는 말로도 쓰인다. 물론 ‘사냥하다’는 곧 악행을 저지른 이를 잡는다는 뜻으로 봐야겠다. 해서 암행어사를 해태에다 비유하여 치사라고도 이른다.

풀이에 따라서는, ‘고랑이-고앙이-고양이-괭이’로 그 바뀐 과정을 상정하였다.(서정범) 터키말에서는 고양이를 케디(kedi), 몽골말로는 고양이를 머루(mru)라 한다.

또 <계림유사>에서는 고양이를 ‘귀니’(鬼尼)라 했는데, 지금도 지역에 따라서는 ‘고내-고이’, ‘살칭이’라고 이른다. 살칭의 ‘살’은 사이를 뜻한다. 호랑이도 작은 짐승도 아니면서 신과 인간의 사이에서 어떤 소임이 있으리라는 가정에서 생긴 것이 아닌가 한다. 뭔가 고양이가 신통함이 있다고 봤다는 얘기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36
2974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2
2973 고수레 風磬 2006.09.18 20585
2972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62
2971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88
»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0
296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109
2968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686
296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463
296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07
296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11
2964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6
296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79
29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46
2961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78
2960 곤죽 風磬 2006.09.29 12341
2959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76
295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28
2957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05
2956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72
2955 바람의종 2008.07.28 6328
295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393
295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