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18 16:52

뒷간이

조회 수 797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뒷간이

사람이름

성종 2년(1471년), 영흥사람 효산은 안막삼·임갈헌·황을생·北叱間(북질간) 무리와 막동이를 죽이고 옷과 말을 빼앗았다. 법에 따라 효산은 참부대시, 안막삼 등은 참형에 해당한다고 형조에서 아뢰었다. 조선 때 법에, 사형은 추분 지나 집행하는 것이 원칙이나 큰 죄인에게는 지체 없이 행하였으니 참부대시라고 한다.

北叱間은 ‘뒷간’이며 ‘둣간이/두간이/둑간이’라는 이름도 이에 잇닿아 있다. ‘-간’(間)은 집안의 한 공간을 이르는 말인데, 사람이름에 막간·솟간·숫간/수간이·엇간·잿간·종간·헛간이가 보인다. 막간은 뒷간의 고장말 ‘소막간’, 솟간은 외양간 또는 솥을 두는 곳인 듯도 하다. 숫간은 몸채 뒤에 자그마하게 지은 광이나 객실을 이른다. 잿간은 재를 부려두는 곳이다.

하필 사람이름을 뒷간이라 했을까? 짐작건대 마당이·마당덕이·마당복이·마당쇠, 부엌이·부엌놈이·부엌덕이·부엌석이·부엌쇠는 마당과 부엌에서 났을 법하다. ‘길갓티’라는 사람은 길가에서 난 모양이다. 옛말에서 앞·뒤는 남·북을, 왼쪽·오른쪽은 동·서를 이르기도 한다. 외양간의 ‘외양’은 본디 오 양/오희양(廐)으로, 말과 소가 있던 곳이며, 달리 ‘멀험·쇠멀험’이라고도 했다. 뒷간과 처가는 멀수록 좋다 했던가? 외양간은 바깥채에 있으며 돼지우리·헛간이 함께 꾸려지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20
2974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65
2973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02
2972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48
297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01
2970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62
2969 바람의종 2008.09.06 5427
296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4
2967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9
2966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31
2965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94
2964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73
»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6
2962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35
2961 바람의종 2008.09.19 7426
2960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01
2959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2958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957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59
2956 바람의종 2008.09.26 5199
2955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1
2954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68
2953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