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5 05:29

굼때다

조회 수 692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굼때다

북녘말

‘말로만 굼때는 것보다는 실질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훨씬 낫다는 뜻’을 가진 북녘 속담이 있다. 그 속담은 “빈말이 랭수 한그릇만 못하다”이다. 실속 없이 말로만 위로하는 것보다 냉수 한 그릇 주는 것이 훨씬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겠다. 여기서 ‘말로만 굼때는 것’은 어떤 뜻일까? 다른 보기를 보자.

“그는 대체로 말이 적고 삥싯삥싯 웃음으로 굼때는 일이 많아서 그의 깊은 속을 헤아리기가 어렵다.”(조선말대사전)
“우선 당장 급한것을 막기 위하여 근본적으로 개선할 대책은 없이 이리 맞추고 저리 맞추어가면서 일을 굼때는 식으로 되는대로 처리하는것.”(조선말대사전)

‘굼때다’는 ‘불충분한 대로 이럭저럭 메우거나 치러 넘기다’, ‘(어떤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슬쩍 둘러 맞추거나 대강 치르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굼때다’와 함께 ‘굼때우다’도 쓰이는데, 그 뜻을 보면 ‘때우다’와 비슷하다. ‘말로만 굼때는 것’은 ‘말로만 때우는 것’이고 ‘웃음으로 굼때는 일’은 ‘웃음으로 때우는 일’이다.

그렇다면 ‘때다’, ‘때우다’ 앞에 결합된 ‘굼’은 무엇일까? 정확하지 않지만, ‘굼뜨다’의 ‘굼’이나 ‘굼벵이’의 ‘굼’, ‘구물거리다’의 ‘구물’, ‘구무럭거리다’의 ‘구무럭’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짐작해 본다. 이들 말은 모두 ‘느린 것’과 관련이 있다. ‘굼때다’는 ‘대강대강 때우는 것’인데, 약간 비약이 있지만, ‘느릿느릿 때우는 것’과 관련을 지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78
3040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79
3039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0
303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0
3037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399
3036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44
3035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18
3034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22
3033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24
3032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12
3031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20
3030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49
3029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47
3028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23
3027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73
3026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82
3025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791
3024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56
3023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83
3022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685
»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29
3020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10
3019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