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09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76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54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19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02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81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28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67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63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29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42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88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86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86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65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10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86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35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89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98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21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29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5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