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6

떡값

조회 수 677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떡값

언어예절

사람들은 선물을 주거나 받으며 인사한다. 행사 때 꽃다발을 선사하는 모습은 아름답다. 손수 짓고 거둔 옷·베·노리개·그림·글씨에다 건어물·고깃근 …들 마음과 손길이 스민 것이면 더욱 좋다. 그렇게 오가며 만나는 사이에 정이 도타워지고 예절이 가다듬어진다. 밥이나 술대접도 그렇다. 말품도 별로 들지 않는다. 사람살이가 무심하고 마냥 명경 같아서야 무슨 재미가 나겠는가.

떡은 제사·잔치 음식이었다. 밥도 귀한데 하물며 떡이랴. 본디 설이나 추석머리 명절 쇠는 데 보태 쓰라고 일터에서 일꾼들에게 주던 돈이 떡값이다. 요즘은 ‘상여금’으로 굳어졌다. ‘삼성 떡값 받은 검찰 고위층’이라면 녹봉은 나라에서 타면서 떡값은 엉뚱한 재벌 기업한테서 받았다는 얘기니, 우선 말이 안 된다. 괜찮게 쓰던 말이 때로는 이처럼 비뚤어진다. 그 돈머리도 서민들 연봉을 넘어서니 뇌물·봉물에 가깝다. 뜻풀이를 하나 더 늘려야겠다.

촌지·촌심도 실체는 돈봉투일 때가 많고, 뒷돈에다 역시 돈머리를 헤아리기 어려운 검은돈·비자금도 있다. ‘돈’이 말을 만들고 바꾸는 셈이다. 봉사료·거마비·접대비·중개료는 공인된 경비로 친다. 갖가지 거래에서 채택비·사례비·보상금은 랜딩비·리베이트란 말로 성행하고, 끼리끼리 짬짜미가 따른다. 그래도 김장값·술값·떡값 …들은 먹거리에서 비롯된 말들어서, 실물로 대신하면 선물은 될 터이다.

사람들은 에두르거나 비유하여 실체를 숨기기를 즐기고, 지칭하는 낱말도 그렇게 쓰일 때가 많다. 말을 하는 데서 썩 효과적인 방식이긴 하지만, 자칫 진실을 가리는 폐단이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37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19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55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524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457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18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48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37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208
3120 바람의종 2007.09.22 9062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06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87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626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330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781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359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581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07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327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779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47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321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