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18

예비

조회 수 758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비

북녘말


“그저 지금 있는 로력만 가지고도 우리가 짜고든다면 많은 예비를 찾을수 있다.”(조선말대사전)

“우명표는 반신반의하면서 다음말을 재촉했다. “좋소! 아주 좋은 의견이요. 더 할수 있는 예비를 내놓으시오.””(장편소설·백양나무)

예비(豫備)는 남북에서 두루 쓰는 말인데, 한자 뜻 그대로 ‘미리 갖춤’이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다른 뜻으로도 쓴다. 위의 예문에 쓰인 ‘예비’는 ‘가능성이나 능력’을 뜻한다. <조선말대사전>에서는 “재생산과정에 쓰이지 않고 있거나 효과적으로 쓰지 못하고있는 생산요소로서 생산을 늘이는데 동원리용할수 있는 가능성이나 능력”이라 풀이했다. ‘예비를 찾는다’고 하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찾는다’는 뜻이다. ‘예비를 내놓으라’는 것은 ‘아직 드러내지 못한 능력을 발휘하라’는 뜻이다. ‘예비 자금, 예비 시험’ 등에 쓰인 ‘예비’는 ‘갖춰 놓은 것 또는 그런 준비’의 뜻이어서 좀 차이가 있다.

둘의 차이는 쓰임에서도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예비는 주로 명사 앞에 쓰이는데, ‘예비 자금’처럼 홀로 쓰이거나 ‘예비적’이란 형식으로 쓰인다. 또 ‘예비로 무엇을 하다’처럼 ‘예비로’ 식으로 쓰이거나 ‘예비를 하다, 예비나 하다’와 같이 ‘하다’ 앞에 쓰인다.

반면, 북녘말 ‘예비’는 ‘~를 찾다, ~를 얻어내다, ~를 동원하다, ~를 마련하다, ~를 짜내다, ~를 내다, ~를 마련하다, ~를 탐구하다, ~가 나오다’ 등과 같이 더 자유롭게 쓰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35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897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26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484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445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094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21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10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84
3120 바람의종 2007.09.22 9027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88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373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609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295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739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332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559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8987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71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738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33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270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