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7 23:55

통장을 부르다

조회 수 1156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셈이나 다름없도다.”(김현구·‘리순신 장군’)

‘통장을 부르다’란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다. 통장을 부르는 것과 그 뜻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통장은 ‘외통장군’이다. 장기에서 상대의 궁을 잡겠다고 선포할 때 ‘장군’이라 하고, 장군을 방어한 뒤에는 ‘멍군’이라 한다. 상대의 궁이 방어할 수 없는 수가 ‘외통수’인데, 외통수를 둔 뒤 부르는 장군이 ‘외통장군!’이다. 북녘에서는 외통장군을 ‘통장·통장훈·외통장·외통장훈’이라 한다. 통장을 부른 상황이라면 장기의 외통수만큼이나 확실하고 자랑스러운 상황이리라.

장기에서 ‘외통수’는 공격자의 생각이다. 통장을 불렀지만, ‘멍군’의 묘수가 나오면 ‘외통수’가 아닌 것이다. 또 장기에서는 통장으로 승부가 결정되면 장기를 다시 두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승부를 끝내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적인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관계에서의 ‘외통수’는 별로 긍정적이지 않다.

한편, ‘외통수’에 대한 남북 사전의 뜻풀이에 차이가 있다. 북녘 사전에는 번진 뜻으로 ‘외곬으로만 통하는 수나 방법’이란 풀이가 더 있다. 최근 남녘에서 쓰이는 ‘외통수’를 확인해 보면 ‘선택의 여지가 하나밖에 없는 상황’의 뜻으로 쓰고 있어서 쓰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5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473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41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93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30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59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73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45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23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59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62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42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7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80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98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78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21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274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71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80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021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957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53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