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5 19:09

인사

조회 수 999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인사

사람을 만나고 헤어질 때 하는 말이나 몸짓, 처음 만난 사람끼리 이름을 알리는 말짓, 은혜를 갚거나 고마움을 나타내는 말과 몸짓을 일컫어 ‘인사’라 한다. 언어예절의 고갱이를 이루는 게 ‘인사’인 셈이다.

이는 흔히 “인사는 잘해야 본전이다, 인사 이동, 정실 인사, 인사 파동, 코드 인사, 인사철 …’에서 쓰는 ‘인사’(人事)와는 좀 다르다. 그런데, 둘을 갈라 올린 국어사전도 있고, 한곳에 두 가지 풀이를 겸한 사전도 있다. 문제는 말밑(어원)을 한결같이 인사(人事)로 박아놓은 점이다.

몇 해 전 정재도님은 ‘인사말씀’의 뜻으로는 중국·일본어에서도 ‘인사’(人事)란 말을 쓰지 않음을 밝히면서 이를 고유어로 봤다. “인사깔(인삿결·인삿성), 인사발림, 인사수작, 인사치레(인사닦음·인사땜), 인삿빚, 인삿술 …”들의 ‘인사’는 인사(人事)와 무관하므로 달리 다루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소리에서도 차이가 난다. 하나는 앞의 ‘인’에 힘을 주어 짧게 [인사]라 하고, 하나는 길게 [인:사-]로 소리 낸다.

“인사를 드리다, 인사가 빠지다, 인사가 밝은 사람, 인사가 아니다, 인사를 나누다, 인사를 받다, 인사를 시키다, 인사가 없다, 감사 인사, 인사를 차리다, 인사가 늦다, 반갑게 인사하다, 인사할 새도 없다 ….” 여기서 쓰는 ‘인사’는 소리와 뜻 두루 인사(人事)와는 거리가 있는 말들이다.

인사로 시작하고 인사로 끝내니 그 말짓이 숱할밖에 없다. 때·곳·사람 따라 온갖 인사가 있다지만 서로 편안하게 주고받는 것을 윗길로 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10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97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646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95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884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71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53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516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346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91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610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546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64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50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65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59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69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79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68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14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78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