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4

버들과 땅이름

조회 수 812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들과 땅이름

땅이름에 나무를 뜻하는 말이 들어 있는 경우는 비교적 많다.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잣나무’와 ‘소나무’다. 잣바우덕·잣방산·잣밭등·잣밭골·잣고개 등은 ‘잣’을 고유어로 나타낸 것이며, 백촌리·백곡·백성동 등은 ‘잣’의 한자어 ‘백’(柏)을 쓴 것이다. 소나무와 관련된 땅이름도 비교적 많다. ‘솔고개·솔모루’ 등이 그것이며, ‘송악’(松嶽)에도 소나무를 뜻하는 한자 ‘송’(松)이 들어 있다.

그러나 ‘송악’의 ‘송’이 ‘소나무’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괴산’(槐山)에 들어 있는 ‘괴’도 한자의 본뜻인 ‘홰나무’에서 온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땅이름의 유래를 확인하려면, 그런 이름이 붙은 까닭을 짐작할 만한 충분한 단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버들’와 관련된 이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버드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민요나 옛시조에도 자주 등장하는 나무인데도 그와 관련된 땅이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한 추론 가운데 하나는 ‘버드나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재집>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버들가지를 ‘비탁가지’라고 하였다고 풀이한 바 있다. 평양을 ‘유경’(柳京)이라 한 것과 충남 해미의 개심사 들머리 ‘버드실’처럼 일부 땅이름에 ‘버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라는 정감 어린 시조에도 나오는 버드나무가 땅이름에 덜 쓰이는 까닭은 땅이름의 발달 과정에서 외래어가 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6
3150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67
3149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667
3148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68
3147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670
3146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671
3145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73
3144 ‘~스런’ 風文 2023.12.29 1676
314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79
3142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82
3141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684
3140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85
313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688
3138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90
3137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92
313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695
3135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97
3134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698
3133 단골 風文 2023.05.22 1700
3132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01
3131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03
3130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05
3129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7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