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4

버들과 땅이름

조회 수 797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들과 땅이름

땅이름에 나무를 뜻하는 말이 들어 있는 경우는 비교적 많다.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잣나무’와 ‘소나무’다. 잣바우덕·잣방산·잣밭등·잣밭골·잣고개 등은 ‘잣’을 고유어로 나타낸 것이며, 백촌리·백곡·백성동 등은 ‘잣’의 한자어 ‘백’(柏)을 쓴 것이다. 소나무와 관련된 땅이름도 비교적 많다. ‘솔고개·솔모루’ 등이 그것이며, ‘송악’(松嶽)에도 소나무를 뜻하는 한자 ‘송’(松)이 들어 있다.

그러나 ‘송악’의 ‘송’이 ‘소나무’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괴산’(槐山)에 들어 있는 ‘괴’도 한자의 본뜻인 ‘홰나무’에서 온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땅이름의 유래를 확인하려면, 그런 이름이 붙은 까닭을 짐작할 만한 충분한 단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버들’와 관련된 이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버드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민요나 옛시조에도 자주 등장하는 나무인데도 그와 관련된 땅이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한 추론 가운데 하나는 ‘버드나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재집>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버들가지를 ‘비탁가지’라고 하였다고 풀이한 바 있다. 평양을 ‘유경’(柳京)이라 한 것과 충남 해미의 개심사 들머리 ‘버드실’처럼 일부 땅이름에 ‘버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라는 정감 어린 시조에도 나오는 버드나무가 땅이름에 덜 쓰이는 까닭은 땅이름의 발달 과정에서 외래어가 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74
31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796
3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48
31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70
309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24
308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59
307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524
306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83
30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329
304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59
303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24
30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85
301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357
30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24
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19
298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620
297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826
296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572
295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184
294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71
293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40
»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72
291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6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