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8 14:19

일터 말

조회 수 948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터 말

집안을 넘어서면 일터와 일자리와 일벗이 있다. 사회를 꾸리는 온갖 동아리가 여기 든다. 예나 오늘이나, 개인·경영자, 대선후보랄 것 없이 일자리 만들기를 첫손으로 꼽는데, 집안·사원·백성을 먹여 살리는 일인 까닭이다. 일자리·일터·일벗과 거래하는 이가 ‘손님’이다. 손님은 호칭·지칭 두루 쓰는 말이고, ‘고객’은 지칭일 뿐인데, 거기다 ‘님’을 붙여 부른다. ‘님’은 아무 말에나 붙어서도 그를 높이는 구실을 하는 부닥방망이와 같다.

일터 말은 비교적 쉽다. 직책·직위·이름을 부르면 되는 까닭이다. 일본 등 직책·직위만 생짜로 부르는 쪽도 있는데, 우리완 맞지 않아서 기분이 껄끄러워지고 정나미가 떨어진다. 일터에서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성명·직책·직위에 ‘님’을 붙여 부르는 게 자연스럽고 편하다. 아랫사람에겐 ‘님’자를 꺼리지만, 인색해야 할 아무 까닭이 없다. 다만 ‘성+씨’, ‘이름+직책·직위+님’은 어울리지 않는다.

같은 분야에서 나이·지위·역량 따위가 앞선 이를 ‘선배’라 부른다. 격식을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정답고 편한 느낌을 준다. ‘동지’는 이념이 실린 말로서 부를 때는 동급 이하에 쓰이며, ‘동무’(벗)는 걸림말이지만 북녘에서는 부름말로도 쓴다. 두루 주로 ‘성’과 어울린다.

일터에서 이제 ‘미스·미스터’는 우스개가 된 듯하고, 오히려 집안말 아씨·언니·형이 어울릴 때가 있다. ‘씨·군·양’은 ‘하게체’ 상대를 부를 때 어울린다. 호칭은 부르고 듣기에 편하면 된다.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껄끄럽게 되고, 껄끄러우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46
3150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97
3149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98
3148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99
314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99
314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00
3145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401
3144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407
3143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08
3142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414
314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15
314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17
3139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421
3138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22
313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25
3136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25
3135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26
3134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29
3133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429
3132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431
3131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31
3130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34
312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