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48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88
3172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68
317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70
3170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71
3169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72
3168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73
3167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75
3166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476
316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479
3164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82
3163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482
3162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82
3161 혼성어 風文 2022.05.18 1483
3160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483
3159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85
3158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487
315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89
3156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93
315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499
315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500
3153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501
315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501
3151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5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