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89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14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50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76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871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148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61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12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08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724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24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690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292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27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769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258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969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825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414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17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96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00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1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