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63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105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757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2498
    read more
  4. 밸과 마음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8541
    Read More
  5. 일터 말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9638
    Read More
  6. ‘고마미지’와 ‘강진’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8392
    Read More
  7. 산오이풀

    Date2008.04.07 By바람의종 Views7255
    Read More
  8. 안겨오다

    Date2008.04.06 By바람의종 Views7390
    Read More
  9. 이름 부르기

    Date2008.04.06 By바람의종 Views7446
    Read More
  10. 해오라기난초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8688
    Read More
  11. 한내와 가린내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9518
    Read More
  12. 거꿀반명제

    Date2008.04.04 By바람의종 Views6392
    Read More
  13. 선과 청혼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6763
    Read More
  14. 무너미·목넘이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6910
    Read More
  15. 맥문동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6513
    Read More
  16. 마라초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6418
    Read More
  17. 서방과 사위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8147
    Read More
  18. 가야와 가라홀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7317
    Read More
  19. 직통생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7329
    Read More
  20. 오누이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8082
    Read More
  21. 명량·울돌목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7206
    Read More
  22. 무궁화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6067
    Read More
  23. 방조하다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7484
    Read More
  24. 도라산역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5873
    Read More
  25. 짝벗 일컫기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716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