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50

입뇌리·물퉁게

조회 수 1027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입뇌리·물퉁게

몸이 피곤하면 입술 주위에 물집이 생길 때가 있다. 이 물집을 ‘구순포진’(口脣疱疹)이라고 한다. 참 어려운 말인데, 바로 ‘입술 물집’이다. 한 낱말로 붙여서 쓸 수도 있겠으나 아직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런데 ‘입술 물집’에 해당되는 남녘말로 ‘입치리’, 북녘말로 ‘입뇌리·물퉁게’가 있다. ‘입술물집’은 두 낱말이 연결되어 한 낱말로 쓰기에 좀 이상하다면, 이들 말을 써 보면 어떨까?

‘입치리·입뇌리·물퉁게’의 원인은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헤르페스’(herpes)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온 영어인데 ‘포진, 물집’을 뜻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물집균’이라고 하겠다. ‘바이러스’는 워낙 익숙하기 때문에 ‘균’으로 바꾸기 곤란하다면, ‘물집 바이러스’라고 할 수도 있겠다. ‘물집균’은 치료된 뒤에도 감각 신경에 남아 있다가 몸의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 활동을 시작해 물집을 만든다고 한다.

입술 주변이 아닌 가슴이나 등에 물집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대상포진’이라고 한다. ‘대상’(帶狀)은 ‘띠 모양’을 뜻한다. 그러니 ‘대상포진’은 ‘띠처럼 물집이 여럿 난 것’을 말한다.

좀 다른 이야기지만, ‘지석묘’(支石墓)를 ‘고인돌’로 바꾸었는데, 고인돌이 ‘돌로 돌을 고였다’는 뜻으로 ‘고이다, 괴다’와 관계가 있다는 것만 알면, 욀 필요도 없고 이해하기 쉽다. 이렇게 익숙지 않은 말을 쉬운 말로 고쳐서 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익숙하지 않은 한자어와 외국어를 섞어서 씀으로써 얻는 이득이 적은 까닭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33
319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02
3193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03
3192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04
3191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307
319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07
3189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07
3188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09
318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11
3186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12
31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12
318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13
318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13
318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13
3181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314
3180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15
3179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15
3178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16
317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0
3176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20
317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21
3174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21
317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