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20

한터와 자갈치

조회 수 923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터와 자갈치

‘한터’는 서울 대치동의 다른 이름이다. ‘한’은 ‘큰’에 해당하는 우리말이며, ‘터’는 ‘치’(峙)의 옛음인 ‘티’가 변화한 말이다. ‘티’가 구개음화해서 ‘치’로 바뀌지 않고 ‘터’로 변한 것은 장소를 나타내는 다른 말인 ‘터’가 있기 때문이다. ‘장터’, ‘새터’와 같이 특정한 장소를 이를 때 ‘터’가 쓰이는 경우는 매우 많다. ‘티’, 곧 ‘치’는 고개를 일컫거나 산이 우뚝 솟은 모습을 일컬을 때 쓰인다. ‘한티’가 ‘대치’로 맞옮겨진 것은 의미상으로도 매우 자연스럽다. 또한 ‘한터’도 어휘 관계를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터’가 ‘치’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부산 자갈치 시장은 ‘자갈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자갈치’는 등가싯과의 생선 이름이지만 자갈치가 많이 잡혀 붙은 이름인지는 알 수 없다. 자갈치 시장은 1946년에 생겨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지역은 자갈투성이 땅이었기 때문에 ‘자갈터’라는 말이 붙었다고 한다. ‘자갈터’가 ‘자갈치’로 바뀐 셈이다. 간혹은 몽골어에서 자갈치가 ‘어부’를 뜻하는 말이므로, 자갈치 시장도 몽골어에서 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자갈치 시장이 생겨난 시점을 고려한다면, 자갈치는 ‘자갈터’에서 유래한 말로, 점차 어류인 자갈치를 연상하게 했다고 봐야겠다. 오늘날 자갈치 시장에서 자갈을 구경하기는 어렵다. 현대식 건물 뒤에 시장 아지매들의 삶과 판잣집의 모습이 사라지고, ‘자갈터’ 흔적도 사라졌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06
330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24
3303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26
3302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30
3301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230
3300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30
3299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31
3298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32
329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33
3296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235
3295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38
329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39
3293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40
3292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40
3291 '-시키다’ 風文 2023.12.22 1240
329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241
3289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43
328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44
3287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5
3286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5
3285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46
328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46
3283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