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7 01:21

맑다와 밝다

조회 수 684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맑다와 밝다

‘맑다’는 ‘흐리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서고, ‘밝다’는 ‘어둡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선다. 그러면서 ‘맑다’와 ‘흐리다’는 하늘이 만든 사물과 사람이 만든 사실에 쓰는 그림씨 낱말이고, ‘밝다’와 ‘어둡다’는 하늘이 만들었거나 사람이 만들었거나 따질 것 없이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그림씨 낱말이다.

샘물이 맑거나 흐리고, 하늘이 맑거나 흐리고, 단풍 빛깔이 맑거나 흐리고, 공기가 맑거나 흐리거나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사물을 두고 쓰는 보기다. 그리고 마음이 맑거나 흐리고, 목소리가 맑거나 흐리고, 생각이 맑거나 흐리고, 살림살이가 맑거나 흐리다고 하는 것은 사람이 만든 사실을 두고 쓰는 보기다.

한편, 새벽이 되면 동녘이 밝아오고 저녁이 되면 산그늘이 내리면서 세상이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해의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보기이며, 보름에 가까워지면 밤이 휘영청 밝아지고 그믐에 가까워지면 밤이 깜깜하게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달의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그리고 등불이 밝거나 어둡고, 횃불이 밝거나 어둡고, 옷감의 빛깔이 밝거나 어둡고, 그림의 물감이 밝거나 어두운 것은 사람이 만든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거기서부터 ‘밝다’와 ‘어둡다’는 빛살로 말미암아 빚어지는 사람살이에까지 쓰임새가 널리 퍼져 나왔다. 눈이 밝거나 어둡고, 귀가 밝거나 어둡고, 사리가 밝거나 어둡고, 예의가 밝거나 어둡고, 물정에 밝거나 어두운 것들이 모두 그런 보기들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83
323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83
3237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85
323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86
3235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8
3234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89
3233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90
323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90
3231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90
3230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93
3229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94
3228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95
3227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97
322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97
322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99
322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00
322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302
322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02
322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02
3220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03
3219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03
3218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04
321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